-
-
최진기의 러우전쟁사 - 러우전쟁은 어떤 세계질서를 만드는가?
최진기 지음 / 스마트북스 / 2025년 5월
평점 :
얼마 전 오랜만에 만난 고등학교, 대학교 선배가
이렇게 말했다.
"서구의 시각, 레거시 미디어의 생각 중심으로
미국이나 국제 정세 뉴스가 전해지는 것 같다.
많이 왜곡되고 편향되어 있다"
이 선배가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는 걸까?
계속 뇌리에 남았다. 그런데 최진기의 이 책은
그런 내 의문에 하나의 답을 주었다.
미국 중심적, 유럽 중심적 시각에서 달리
세상의 변화를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이 책에서 새롭게 알게 된 것은 미국 정부의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태도의 갈지자 행보였다.
트럼프와 푸틴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것도 이해가 되지 않았고 바이든 정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벌인 것도 일관되게 이해되지 않았다.
전통적인 군사강국이면서 자원식량 강국인 러시아와
신흥 경제 대국 중국 양자에 대처해야 하는 미국의
상황 속에서 때로는 중국과 때로는 러시아와 각을 세우는
현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는 설명은 꽤 설득력 있다.
국제정치학자들의 이론이나 주장을 함께 설명해 줘서
더욱 이해하기 좋았다.
또 하나 배운 점은 미국 민주당의 변화에 대한 것이다.
냉전 시기 미국 민주당의 입장과 소비에트 붕괴 후
미국 민주당의 입장 그리고 오늘날 민주당의 입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설명은 흥미롭다.
트럼프에 대한 대중적인 지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국 민주당이 어떻게 대중으로부터 멀어졌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과거를 설명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지만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브릭스의 약진과 확대를 예측하는
저자의 주장은 쉽게 수긍하긴 어렵지만 앞으로 눈 여겨
볼 대목인 것은 분명하다.
과거 전쟁사에 대한 책으로 최진기 씨의 책에 큰 점수를
줬고 덕분에 다른 전쟁사 책을 많이 읽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독서를 계기로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책들을 더 읽는
계기가 될 듯 하다. 또한 미국 민주당 관점의 책 대신
제3의 시각에서 민주당의 최근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책들도
더 읽게 될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