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탈린은 청교도적인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원 밀로반 질라스가 나치로부터 해방된 지역에서 소련군이 벌이는 행패를 불평할 때 이렇게 말했다.

“당연히 도스토옙스키를 읽으셨겠죠? 인간의 영혼, 즉 마음이 복잡한 것을 아시겠죠? 한 남자가 스탈린그라드로부터 베오그라드(유고슬라비아의 수도-옮긴이)까지 계속 싸웠다고 가정해봅시다. 폐허가 된 조국과, 전우와 사랑하는 이들의 시체들을 넘어 수천 킬로미터를 헤치고 말이오! 그런 자가 어떻게 정상적으로 행동할까요? 그리고 그런 끔찍한 일을 겪었는데 여자와 재미를 보는 게 뭐가 그리 끔찍하겠소? 귀하는 소련군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한 모양이군요. 소련군은 이상적이지도 않고, 그래서도 안 됩니다. … 가장 중요한 건 독일군과 싸운다는 것, 그리고 잘 싸워야 한다는 겁니다. 나머진 아무래도 좋소.”27

1945 중에서

스탈린은 이후 곧 입장을 바꾼다. 이런 소련군의 행동은 군사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비생산적이기 때문이다. 독일군은 동부전선에서 격렬히 저항했고 군사적 부담이 줄지 않았다. 그리고 동유럽에서 공산정권을 세우기에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돕스의 글에는 소련 병사들이 독일로 진격해 왔을 때의 감정이 어떠했는지 아래와 같이 잘 묘사되어 있다. 독일 병사에 의해 파괴된 소련 영토를 수천킬로 되짚어온 가난한 소련 병사 앞에 풍족한 독일 도시와 민간인들이 어떻게 비쳤을지 말이다.




캅카스나 중앙아시아에서 온 농부소년들이 보기에 크라이니츠나 슈트렐라의 평범한 독일 마을의 집은 궁궐 같았다. 시골길도 고속도로처럼 보였고, 잘 먹인 독일 소들은 소련 집단농장의 말라빠진 짐승과는 전혀 달랐다. 이 풍요로움은 분명한 의문을 자아냈다. 이토록 잘사는 독일인이 왜 가난하고 압정에 신음하는 러시아를 침략했을까? 소련군 중위 보리스 이텐베르크는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에 이렇게 썼다.

“이 기생충들은 정말 잘살았어! 폐허가 된 집, 버려진 가구, 단정하게 나무가 심어진 인도, 읽지도 않은 새 책으로 가득한 도서관을 비롯해 정말 풍요로운 삶의 수많은 증거를 봤어. 아직 멀쩡한 집에 들어가면 놀라운 것이 보여. 의자, 소파, 옷장. 독일인들은 정말 잘 살았어. 왜 그 이상을 바라지? 독일인들은 전쟁을 원했고, 결국 대가를 치렀어.”13

1945 중에서


“식량 창고에 집에서 훈제한 고기, 말린 과일, 딸기잼 같은 게 가득했다. 독일 안으로 들어갈수록 곳곳에서 보이는 풍요에 구역질이 났다. … 잘 정리된 병과 깡통에 주먹을 날려 부셔버리고 싶다.”14

소련군 장병 다수에게 독일 민간인에 대한 태도가 부러움에서 분노로, 그리고 범죄로 발전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이들은 일리야 예렌부르크의 선동 문구를 기억했다.

“날짜를 세지도 말고, 거리를 헤아리지도 말라. 그저 네가 죽인 독일인의 수만 세라.”

이 유명한 선동가는 병사들에게 패망한 적국 독일에 “어떤 자비도 베풀지 말라”고 부추겼고, 병사들은 그말에 따랐다.

1945 중에서

보병소대의 정치장교로 복무한 시인 보리스 슐루츠키는 독일인을 향한 잔인함에 “그 어떤 정당화도 필요 없다”고 믿었다.

“지금은 법과 진실을 말할 때가 아니다. 독일인들이 먼저 선과 악을 넘어서는 길을 선택했다. 이제는 똑같이, 100배쯤 되갚아주자.”

1945 중에서

소련군이 접근하자 독일 민간인들이 보인 공포 반응은 강 건너편에서 벌어지는 사태를 보여주는 초기 징후였다. 새로운 미군 부대가 규모를 갖춰 새로운 경계선으로 다가가면서 “넋을 잃고 무질서한 수많은 피난민들에게 압도당했다. … 이들은 걸어서, 자전거를 타고, 수레를 끌고, 마차를 타고, 그 외 가능한 모든 수단을 이용해 몰려왔다.”19 피난민들의 이동 방향은 압도적으로 한 방향으로만 향했다. 동쪽에서 서쪽이었다

1945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탈린과 아이젠하워의 차이

“베를린은 예전의 전략적 중요성을 잃었습니다. 따라서 소련군 최고사령부는 2선급 부대를 베를린 쪽으로 파병하려 합니다.”

베를린 함락에 대해 나중에 집필한 역사가 앤터니 비버는 이 공문을 “현대 역사상 가장 큰 만우절 허풍”이라고 평가했다.11 ‘영도자’는 베를린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기는커녕, 베를린 전투가 이 전쟁의 절정과도 같은 것이 되리라고 확신했다. 독일 제국의회와 국가수상부는 크렘린이 소련 권력의 상징이듯 나치 권력의 상징이었다. 대체로 군사적인 관점으로만 생각하는 아이젠하워와 달리, 스탈린은 정치적·전략적 관점으로 생각했다.

1945 중에서

아이젠하워의 주요 목표는 미군을 비롯한 연합군 인명피해를 최소로 억제하면서 전쟁에서 이기는 것이었다. 그것은 루스벨트가 전적으로 지지한 목표이기도 했다. 반면 스탈린은 결정을 내릴 때 인명피해는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았지만, 그런 결정이 초래할 정치적 결과에는 편집증적으로 집착했다. 적국 수도 함락은 스탈린이 나치독일의 정복자라는 평가를 확고하게 함으로써 동유럽의 거의 대부분에 대한 지배를 확고부동하게 할 수 있었다. 그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소련과 독일에 막대한 인명피해를 입힐 각오를 했다.

1945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탈린의 의심

헝가리에서 독일군이 예상 밖의 끈질긴 저항을 하는 통에 소련군은 오스트리아 빈으로 향하는 진격을 늦춰야 했다. 소련이 보기에 더 걱정스러운 부분은 양 전선 사이의 사상자 숫자 차이였다. 보통 소련군은 하루에 독일군 800명을 죽였지만, 서부전선에서는 독일군 전사자가 60명만 나왔다. 독일군 약 2500명이 동부전선에서 매일같이 “실종”된 반면, 서부전선에서는 그 10분의 1만 실종됐다. 일리야 예렌부르크의 경멸스러운 표현에 의하면 독일군은 “미친듯이 집요하게” 미군에 항복하려고 한 반면, 러시아인들에게는 최후의 순간까지 저항을 계속했다.7

1945 중에서


독일군이 미군의 패튼 장군과 영국군의 몽고메리 장군에게 무더기로 항복하는 것은 어떤 뒷거래의 증거일지도 몰랐다. 서방연합군은 나치에 더 관대하게 대한 대가로 원래 예정보다 더 동쪽에서 소련군을 만나게 될지도 몰랐다. 만약 서방연합국이 히틀러를 적대시하는 나치 장군들과 동맹을 맺는다면 소련을 적으로 돌릴지도 몰랐다. 스탈린 자신이 1939년 히틀러의 독일과 불가침조약을 맺은 사실은 그의 의심만 부추겼다. 스탈린은 다른 정치인들도 자기만큼이나 냉소적이리라고 단정했다

1945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루마니아 정국의 요동과 상류층


미하이 국왕은 루마니아의 “미니 총통”이던 독재자 이온 안토네스쿠를 축출한 1944년 8월 23일의 쿠데타를 조직한 당사자이기도 했다. 이 호헨촐레른 가문의 왕족은 나치당이 지원하는 안토네스쿠 일파를 축출하기 위해 루마니아에서 가장 잘 조직된 저항조직인 공산당 지하세력에 의존해야 했다. 소련군이 저항 없이 루마니아에 입성하자 위스너는 소련의 점령을 우려하는 친서방 정치인들의 입지를 높여주려 했다.

1945 중에서


러시아인들을 두려워하는 루마니아 상류층은 미국인 후원자를 찾느라 분주했다. 이들은 거의 공짜나 다름없이, 그저 미국의 외교적 보호를 받는다는 뜻으로 성조기가 장식된 플래카드를 내거는 조건만으로도 미국인들에게 저택을 빌려줬다. 자가용이 러시아인의 손에 넘어가느니 차라리 미국 외교관에게 무기한 빌려주기도 했다.

1945 중에서

“도시의 모든 게 잠잠했다. 몇몇 루마니아 상류층과 이야기해보니 대부분 예상보다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지금이 좌파 이념 쪽으로 서서히 바뀌는 시대이고, 새로운 시대에 큰 탈 없이 적응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28

이 상류층 사람들은 제1차 세계대전 이전과 이후의 의회민주주의 시대에도, 로맨스와 음모로 가득한, 수많은 불륜과 화려한 군복으로 유명한 카롤 2세의 왕정 독재 시대에도 잘 나갔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도 파시스트 철위대(1927년 루마니아에서 시작된 민족주의, 반공주의, 반유대주의 성격의 정치 운동과 정당을 가리키는 이름-옮긴이) 세력의 통치에 적응했고, 1944년 가을 소련군의 등장에도 적응했다. 이들은 또 다른 정부의 변화도 버텨낼 수 있다고 믿었다.

1945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