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 증가와 무력한 영아기
두뇌 크기 증가는 말 그대로 병목 현상에 맞닥뜨리고 만다. 두뇌가 커지면서 산도産道를 통과하기가 힘들어진 것이다. 직립 자세로 걸어 다니는 것이 가능한 골반 형태를 계속 유지하는 한에는 호미니드 암컷이 출산할 수 있는 머리 크기에는 물리적 한계가 있었다. 이 난관을 만났을 때 적어도 사람과 한 종種(즉, 우리의 조상)이 기발한 기법을 발달시켰으니, 아기의 두뇌가 제 몸을 가눌 만큼 발달하기 전에 아기를 자궁 밖으로 미리 내보내는 꾀를 쓴 것이다. 인간 이외의 다른 모든 영장류 종은 출생 직후부터 두뇌 성장이 현격히 둔화하는데, 날 때부터 두뇌가 대체로 완벽하게 발달해 언제든 기능할 준비가 돼 있기 때문이다. 몇 년 정도 아동기 놀이와 학습을 하며 몇 가지 미세 조정만 이루어지면 끝이다. 하지만 인간은 태아기 두뇌 성장이 출생 후에도 2년 동안 지속되는 것과 함께, 추후에도 20년은 더 두뇌 무게가 느린 속도로나마 꾸준히 늘어난다.32 새끼가 태어나 몇 년을 지극히 무력한 상태로 지내며 10년도 넘게 어른의 보살핌에 크게 의존해야 하는 생물체는 이 지구에서 오직 인간뿐이다. -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행복>, 조너선 하이트 지음 / 왕수민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gVhGLEz6kyLQuFE96
수렵 채집 사회를 다룬 연구들에서도, 어린아이가 있는 엄마는 자신과 아이가 먹고 살아가기에 충분한 칼로리를 다 모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3 결국 신변 보호나 많은 식량을 구하는 문제에서 여자는 생산성이 절정기에 오른 남자에게 의존한다. -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행복>, 조너선 하이트 지음 / 왕수민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FwGusCsexyPF6CH18
활동적인 아버지, 남자-여자가 쌍으로 맺은 유대, 남자의 성性적 질투, 머리가 큰 아기는 전부 공진화共進化했다고 하겠다. 달리 말하면, 이 모든 것이 더디게나마 다 함께 발생했다는 뜻이다. 같은 남자라도 여자 곁에 머물려 하고, 그녀의 정절을 지키려 하며, 자식 양육에 힘을 보태겠다는 열망이 얼마쯤 있는 아버지가 그만한 부성이 없는 경쟁자들보다 더 영리한 아이들을 낳을 수 있었을 것이다. 지능이 곧 고도의 적응 능력이 되는 환경에서는(우리가 한번 연장을 만들기 시작한 이후로는, 인간의 모든 환경에서 그랬을 것이다), 남자의 자식에 대한 투자는 남자 자신에게 보상을 가져다주는 일이었고(엄밀히 말하면, 남자의 유전자를 위한 일이었고), 따라서 매 세대가 거듭될 때마다 자식에 대한 투자는 점점 흔한 일이 돼 갔다. -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행복>, 조너선 하이트 지음 / 왕수민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E1dDjfEMMaeU8CjN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