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주가 하고 싶은 애견미용에는 가족들의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누적된 실패를 봐온 가족들은 반대했고 지원도 해주지 않았다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 빈곤과 청소년, 10년의 기록 중에서


낮은 자존감은 이전의 실패를 극복하고 새로운 도전으로 나아가려는 시도에도 큰 질곡이 된다. 새로운 일에는 자신이 없고, 끈기가 없으며 실패할 것이라는 두려움에 사로잡힌다. 그래서 학업에 다시 도전하거나 기술을 배우는 일에서 종종 실패를 경험하게 되고, 이것은 다시 자존감을 낮추는 악순환을 만든다. 혜주는 졸업장이 없기 때문에 그것을 만회하기 위해 수많은 일에 도전했다. 미용, 피부미용, 네일아트, 애견미용, 검정고시 등등. 하지만 이런 일에 도전하는 것 자체에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었고 남들의 ‘시선’이 항상 두려웠기 때문에 그 긴장감을 견뎌내지 못했다. 더욱이 이런 도전에 대해 용기와 지지를 보내주는 지지체계가 없었다. 누군가로부터 ‘실패해도 계속 널 사랑하고 아낄 것이다’, ‘그것이 네 잘못은 아니다’, ‘실패해도 괜찮다’, ‘사는 것이 좀 힘들더라도 너만 힘들게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라는 믿음을 줄 만한 지지체계가 있었다면 조금 나았으리라고 생각한다.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 빈곤과 청소년, 10년의 기록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