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집 스위치

- 집단과의 합일 경험이 보편적으로 존재한다

우리 인간은 (특별한 조건에 놓이면) 이기심을 초월하여 자신을 잊고 자기 자신보다 거대한 무엇에 (일시적이며 열광적으로) 빠져들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러한 능력이 바로 내가 말하는 ‘군집 스위치(hive switch)’이다. 내가 보기에 이 군집 스위치는 집단과 관련된 적응으로서, 윌리엄스가 말한 것처럼 오로지 “집단 간 선택 이론으로만” 설명이 가능하다.4 개인 차원의 선택으로는 그것을 설명할 길이 없다(한 개인이 동일 집단 내의 이웃을 경쟁에서 제치고자 할 때 이 이상한 능력이 무슨 도움이 될 수 있겠는가?). 즉, 군집 스위치는 집단의 단결력을 더욱 단단히 다져주는 데 필요한 적응인 것이며, 그로써 타 집단과의 경쟁에서 더 큰 성공을 거두게 해준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hSqyb3WKVLKUGoYB7

- 옥시토신과 거울뉴런

군집 스위치가 정말로 실재한다면, 그러니까 집단의 선택이 집단의 연대를 위해 정말 이런 집단 차원의 적응을 만들어냈다면, 그것은 일련의 뉴런과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으로 구성되어 있을 게 틀림없다. 다시 말해 뇌의 특정 부위를 차지하는 식으로는, 즉 일종의 뉴런 다발이 인간에게는 있고 침팬지에게는 없는 식으로는 자리하고 있지 않을 것이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yq9XHFMGCpfp66499

사람들을 커다란 집단으로 엮는 방법은 진화가 진행되는 도중 어쩌다 우연히 발견된 것이라고 치자. 그런데 이 과정에서 접착제 역할을 했을 것으로 가장 유력시되는 물질이 있으니, 바로 시상하부에서 만들어내는 호르몬이자 신경전달물질인 옥시토신이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ajU1cxH5VRf9mjrH9

우리 인간은 다른 누가 그저 미소 짓는 것만 봐도 자신이 미소 지을 때와 똑같이 뉴런이 활성화된다. 이는 결국 다른 사람이 내 뇌를 웃게 만드는 것이나 다름없고, 그러면 나 역시 행복감에 젖어 저절로 미소를 짓게 되며, 내 미소는 다시 다른 누구의 뇌 속으로 전달된다.

뒤르켐이 말한 집단 감성, 특히 집단적 들썩임에서 느껴지는 그 감정 ‘전류’를 생각하면 거울 뉴런이야말로 뒤르켐의 사상에 딱 들어맞음을 알 수 있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masMDui5YUnTo5rN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