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선택론의 부침

무임승차자 문제에 대한 다윈의 설명을 독자들은 거의 10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만족스럽게 받아들였고, 그러면서 집단선택도 진화론적 사고의 기본 내용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윈이 인간이라는 특정 종이 무임승차자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조목조목 다 따졌던 데 반해, 인간 이외의 종이 무임승차자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일일이 다 따져본 학자는 안타깝게도 그 이후에는 거의 없었다. 그저 동물들이 “집단의 이익을 위해” 이러저러한 행동을 한다는 주장만 우후죽순 늘어났을 뿐이었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c330c87314a34bff

그 외의 경우에는 남을 위해 죽는다는 것이 아주 특별한 상황에서나 일어난다. 이에 윌리엄스는 엉성하기 짝이 없는 그런 생물학을 자신이 완전히 몰아내겠다고 작정하고 책을 한 권 집필하기 시작했다.20 그렇게 해서 나온 《적응과 자연선택 (Adaptation and Natural Selection)》(1966년)에서 윌리엄스는 적응에 대한 사고를 명확히 전개하는 법이 무엇인지를 생물학자들에게 일러주고 있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c330c87314a34bff

윌리엄스는 이론상으로는 집단선택이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곧이어 “현실에서는 집단 관련 적응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라며, 책 전반을 할애해 그 논지를 증명해나간다.24 그는 동물의 왕국 도처에서 벌어지는 일을 예로 들면서, 순진한 생물학자에게는(그 흰개미 전문 연구가처럼) 이타주의자나 자기희생으로 비치는 일이 사실은 모두 개인의 이기심 혹은 혈연선택에 의한 것(친족 사이에서 개체들의 희생이 의미 있는 까닭은, 그 희생으로 인해 친족 사이의 똑같은 유전자가 다시 복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임을 입증해 보인다. 1976년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가 베스트셀러 《이기적 유전자(Selfish Gene)》에서 한 작업도 이와 똑같은 것이었다. 그 역시 집단선택이 가능함을 인정하면서도, 곧이어 겉보기에 집단 관련 적응처럼 보이는 것들이 왜 집단 관련 적응이 아닌지를 밝혔다. 그리하여 1970년대 말에 이르자 학계에는 집단선택에 대한 강력한 합의가 이루어졌고, 따라서 누구라도 “집단의 이익을 위해” 어떤 행동이 일어난다고 주장했다간 바보라며 무시당하기 십상이었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c330c87314a34bff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