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

그는 동료들과 함께 2011년 흥미로운 실험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실험참가자들을 fMRI 장치 안에 눕혀놓고, 짧은 영화 클립을 보여주면서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후두엽의 시각피질 활동을 측정했습니다. 이렇게 측정된 뇌 활동을 분석해서 이 사람이 지금 무슨 영화를 보고 있는지 그 화면을 그대로 재구성하는 데 성공한 겁니다. 이 연구결과는 우리가 무언가를 보고 있으면 이때 시각피질의 활동만으로 뭘 보고 있는지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실제 영상과 비교하면 꽤 정교하게 얼추 비슷한 이미지들이 나타납니다. 앞으로 10~20년 정도 지나면 해상도와 정확도가 더 높아져서, 잠을 자는 동안(특히 렘수면 때) 시각피질의 신경 활동을 찍으면 꿈을 영상화할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 <열두 발자국 (리커버 에디션)>, 정재승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jthEmLUZKRatAVvL8

갤런트 연구 팀은 2016년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에 또 한 편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번에는 단어(word)가 대뇌피질(cerebral cortex) 어디에 저장돼 있는가를 파악하려는 연구였습니다. - <열두 발자국 (리커버 에디션)>, 정재승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n3MfhU6w1zbbLjia7

우리가 평소 사용하는 단어들이 뇌 전체 중 어디에 저장돼 있는지 단어(어휘) 지도를 그리는 데 성공한 겁니다.
사전에는 약 5만~10만 단어가 수록돼 있지만, 우리가 평소 일상에서 사용하는 단어군은 여성의 경우 약 6000단어, 남성은 약 5000단어이며 결혼한 남성은 약 1800단어를 사용합니다. (웃음) 진화심리학 연구에서 발견한 사실입니다. (웃음) 연구진은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약 2000여 개 단어들에 대한 대뇌피질상의 저장 지도를 발견한 겁니다. - <열두 발자국 (리커버 에디션)>, 정재승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ky9BmVSLNNBbhkkt9


대뇌피질의 단어 지도를 살펴보니, 사람마다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단어군이 있더라는 신기한 현상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같은 단어가 여러 뇌 영역에 저장돼 있기도 하고요. 무엇보다, 유사한 개념의 단어들을 덩이로 저장한다는 것도 알게 됐습니다. 다시 말해, 우리가 단어를 머릿속에 저장할 때 유사한 개념의 단어들은 서로 가까운 영역에 저장하더라는 겁니다. 이렇게 하면 글을 읽을 때 효율적으로 문장들을 처리할 수 있겠죠. 별로 상관없는 개념들의 단어들은 멀리 떨어져 저장해놓았고요. 저도 단어들을 카테고리별로 저장할 거라고 추측은 했습니다만, 이렇게 간명하게 보여준 연구는 처음이었습니다. - <열두 발자국 (리커버 에디션)>, 정재승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hjo5mLeMKciRWMyj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