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접기제와 진화기제

진화생물학자들이 특히 관심을 보이는 답은 두 가지다. 우리는 두 답을 근접 설명proximate explanation과 궁극 설명ultimate explanation이라 부른다.10 왜 사람은 남을 돕느냐는 물음에 대한 근접 수준의 답은 이런 행동을 일으키는 직접적 원인과 관련한다. 이런 설명은 맥락(“나는 이 친구를 거리낌 없이 도울 거예요. 내 친구니까요.”), 성격(“조는 늘 남을 먼저 생각해요. 정말 착한 사람이거든요.”), 감정이입적 염려(“그 여성은 건물 밖 인도에서 떨고 있는 남자가 몹시 안쓰러워 역 카페에서 차를 한 잔 사줬다.”)에 호소하기도 한다. 근접 설명은 우리가 쉽게 떠올리지 못하는 원인, 예컨대 호르몬의 영향(아버지가 자식을 돌볼 때 테스토스테론이 끼치는 영향을 떠올려보라), 크기가 다른 뇌 구조, 신경 활동의 양상도 포함한다. 최근 한 연구에서 극단적 이타주의자(남에게 신장을 떼준 신장 공여자)의 뇌를 대조군과 비교했더니 뇌 구조와 기능이 여느 사람과 달랐다.11 이타주의자 집단은 감정이입 반응을 일으키는 데 관여한다고 보는 뇌 영역이 더 컸고 더 쉽게 활성화되었다. 흥미롭게도 사이코패스 성향을 보이는 사람들은 이 영역이 더 작고 감정이입 반응이 거의 없었다. - <협력의 유전자>, 니컬라 라이하니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76617

이와 달리 궁극 설명은 다른 답을 추구해 남을 도우려는 성향을 자연선택이 어떻게 장려했을지 알고 싶어 한다. - <협력의 유전자>, 니컬라 라이하니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76617

섹스를 하는 진화적 이유와 심리 자극이 꼭 일치할 필요는 없다. 우리가 성관계를 할 때마다 자식이 생기기를 바라거나 기대하지 않을뿐더러 그런 바람을 아예 품지 않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섹스가 번식 성공도를 높이기 때문에 존재한다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이타주의도 마찬가지다. 이타적 행동으로 편익이 쌓일 가능성을 인정한다고 해서 남을 돕는 행위의 동기를 훼손하지는 않는다. 진화가 배고픔(먹으라는 신호)을 느끼거나 섹스를 즐기도록 우리 심리를 빚었듯이 친절, 도덕적 행동, 도움 행동 아래 깔린 동기를 빚어 우리가 우리 유전자에 이로운 무엇을 즐기게 유도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협력 형질이 어떻게 개체에 장기 이익이 될까? 앞서 살펴봤듯이 값비싼 도움 행동이 피붙이에게 이익이 될 때는 진화가 협력을 선호하기도 한다. 하지만 협력이 널리 퍼진 까닭이 이 때문만은 아니다. 도움을 베푼 개체가 결국은 투자한 데 대한 두둑한 보상을 받기 때문에 진화가 도움 행동을 선호할 때도 있다. - <협력의 유전자>, 니컬라 라이하니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766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