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가 다시 쓰는 결혼 이야기
젊은 가족학자 11인 엮음 / 고즈윈 / 2005년 1월
품절


사랑에 전부를 걸면 외로운 이유? 본전 생각이 나니까.-19쪽

자신과 연애하듯 살아라

사랑은 능력이며 배우는 것이다. 자전거도 배운 사람만 탈 수 있듯이 사랑의 능력을 가진 사람이 성숙한 사랑을 할 수 있다. 사랑의 능력이 있는 사람이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이다. 물론 이기적인 사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심리학적으로 자신만을 사랑하는 이기적인 사람은 오히려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이다. 진실로 연애와 사랑을 잘하고 싶다면 자신과 연애하듯 살아라.

어느 누구도 당신 자신만이 할 수 있다. 자부심이란 다른 누구가 아닌 오직 내가 나에게 줄 수 있다. 그러니 언제나 자신과 연애하듯 살라는 젤린스키의 말을 명심하자.
-3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경과 앨리스의 神나는 연애 - 여성들의 영혼을 치유해줄 열두 개의 대답
현경, 앨리스 워커 지음 / 마음산책 / 2004년 5월
품절


사랑을 한다고 해서 우울함에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 기대하는 것은 희망사항일 뿐이다. 자기가 우울하면 무엇을 해도 우울하고 자기가 즐겁고 행복하면 무엇을 해도 행복하다. 우리들의 애인, 남편, 친구가 우리 내면의 근본적인 우울함의 문제를 해결해줄 수는 없다.

불교의 스승들은 인간에게는 두 가지 고통이 있다고 가르친다. 하나는 갖고 싶은데 못 갖는 것, 또 하나는 가져보니 그것도 원하던 게 아니라는 것. 그래서 불교에서는 삶을 고통이라고 말한다. 이때의 고통은 우리들이 매일매일의 삶에서 겪는 생로병사의 구체적인 고통만이 아니라 무엇을 해보아도 만족할 수 없다는 존재의 근원적인 고통이다. -8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구판절판


신기하게도 기억은 그 당시에 보이지 않았던 많은 것들을 보게 해준다. 무대 구석에서 작은 제스처를 하는 엑스트라에게 비추어지는 핀 라이트처럼, 기억은 우리에게 그 순간을 다시 살게 해줄 뿐 아니라 그 순간에 다른 가치를 부여한다. 그리고 그 가치는 때로 우리가 우리의 기억이라고 믿었던 것과 모순될 수도 있다. -12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물관이 나에게 말을 걸었다
성혜영 지음 / 휴머니스트 / 2004년 2월
품절


우리는 박물관을 통해 돌이킬 수 없는 것, 속절없이 놓쳐버린 무엇과 기억하고 싶은 무엇, 그리고 사랑하고 미워하던 순간들을 다시 만난다. 그리고 다시 꿈을 꿀 수 있는 힘을 얻는다. 무엇이 그리도 아쉽고, 무엇을 그리도 갈구하며 또 무슨 희망을 품고 살아가고 있는지, 대답은 각자의 몫이다.

저마다에게 지워진 삶의 무게가 다르듯이 말이다. 유물을 보는 눈이 사람마다 달라야 하고 또 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박물관은 바로 그렇게 우리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 '거리'를 제공해줄 뿐이다. -4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비야의 중국견문록
한비야 지음 / 푸른숲 / 2001년 8월
장바구니담기


나도 한때는 남들보다 늦는 것이 조바심나서 바들바들 떨면서 살았다. 그런데 지금은 전혀 그렇지 않다. 더 이상 남과 비교하지 않는, 독자적인 삶을 꾸려가기로 마음먹었기 때문이다. 세계 여행 덕분이다. 아프리카의 킬리만자로, 파키스탄의 낭가파르바트, 네팔의 에베리스트 베이스캠프를 오를 때 공통적으로 깨달은 것이 있다.

'정상까지 오르려면 반드시 자기 속도로 가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느리고 답답하게 보여도 정상으로 가는 유일한 방법이다. ... 물론 사람에게는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인생의 속도와 일정표가 있다. 언제까지 공부를 하고, 결혼을 하고, 직장을 가져서 돈을 벌고, 아이들 낳아 키우고, 노후를 어떻게 보내야 한다는. 이것에 딱 맞추어서 인생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렇게 해야 본인 뿐만 아니라 주위 모든 사람들이 편하다는 말에도 일리가 있다.

... 그런데 다시 생각해보자. 우리의 인생에서 이 표준 시간표가 정말 그토록 중요한 것일까? 오히려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시간표가 더 중요한 것이 아닐까?-19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