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판매학
레이 모이니헌.앨런 커셀스 지음, 홍혜걸 옮김 / 알마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날로 환경오염은 심해지고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대에 살고 있다. 아마도 점점 나이 들어가며 그런 생각을 더 많이 하게 되지 않을까. 참살이에 관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많이 편성되고 그와 관련된 책들이 많이 출간되는 것은 그만큼 요즘 사람들의 관심사를 충분히 반영해주고 있는 것이라 여겨진다.


<질병판매학>은 우리에게 또 다른 시각을 키워주고 있다. 책을 통해 제약회사도 일종의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라는 것을 환기하게 되었다. 제약회사는 사람들의 질병을 고쳐주기 위해 설립되었지만 되도록 약을 많이 팔아서 그만큼 이윤을 많이 남기는 것이 목적이기도 하다.


골다공증을 환자 수나 골밀도 수치 등 숫자로 관리하는 것보다 노인들이 낙상 등 미끄러져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전략에 더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약 회사들을 가장 불안하게 한 것은 그가 보여준 증거들이 뼈의 다른 변화, 즉 골밀도보다는 뼈의 고조와 관련한 변화들이 장래 골절 가능성에 훨씬 더 큰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한 점이다.


그는 오늘날 널리 퍼진 골밀도 검사가 어떠한 이익도 없다고 결론 내리며, 여성들이 현재 복용하고 있는 시기보다 훨씬 더 늦은 시기에 약을 먹는 것이 더욱 이로울 것이라고 밝혔다. 달리 말하면 나이가 들어 골절이 일어나기 쉬운 시기에 가까워졌을 때 복용을 시작하라는 것이다. (80쪽)


콜레스테롤 수치가 조금 높게 나와 일체 육류를 멀리하시는 아버지나 골다공증에 필요한 약과 칼슘제를 병행해 드시는 어머니를 생각하면 책의 내용이 남의 일처럼 여겨지지 않았다. 약을 복용하기 전에 약이 아닌 다른 것으로 먼저 증상의 완화를 꾀해 보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마땅하다.


이 책에는 굳이 질병으로 분류하지 않아도 될 만한 것들이 질병으로 분류되어 약물을 남용하고 있지 않은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식이요법이나 운동으로 충분히 개선될 수 있는 것들을 약으로 대치하려 하고 있다는 말이다.


물론 약으로 복용하면 간편하지만 주지하다시피 약에는 부작용이 따르기 마련이다. 꼭 기능하지 않아도 될 장기에 기능해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이다.


건강염려증도 일종의 병이라는데, 건강에 대한 두려움이 상품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미처 깨닫지 못했다. 그런 의미에서 제목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무엇보다 약을 소비하는 사람들이 제대로 알아야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12-01 0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골다공증은 과잉진료의 경향이 있습니다.
저역시 못마땅하답니다.
골다공증으로 환자들을 겁주는 병의원은 피하시도록..

연잎차 2006-12-03 18: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신의 몸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자신이 더 잘알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