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효의 글쓰기 만보 - 일기 쓰기부터 소설 쓰기까지 단어에서 문체까지
안정효 지음 / 모멘토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의 사람을 두 부류로 나눈다면 글을 쓰는 일이 즐거운 사람이 있고 그렇지 못한 사람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종류의 글이건 간에 글쓰기가 마냥 즐겁다는 것은 거짓이다. 좋은 글이란 여러 번 고쳐 쓰는 글이라고 하는데 그렇게 고쳐서 쓰는 일에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지 써 본 사람만이 알 수 있는 법.


글쓰기에 관한 책이 출간되는 게 반갑다. 글을 잘 쓰고 싶다는 마음을 간직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한 일이다. 그간 읽은 글쓰기 관련 책 중 단연 두꺼운 이 책이 재미없게 쓰여 졌더라면 읽는 행위 자체가 얼마나 곤혹스러웠을까. 그랬더라면 읽다가 중간에 포기해버렸을 가능성이 높다.


이 책은 아버지가 들려주시는 이야기처럼 친근하고 정겨우면서도 글쓰기 공부에 꼭 필요한 이야기들을 선보이고 있다.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책을 쓰기란 쉬운 일이 아닐 텐데 역시 대작가의 면모를 여기에서도 엿보게 된다.


이 책은 물론 글쓰기 비법이 숨겨져 있기도 하지만 소설가라는 직업, 혹은 번역가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생활을 하며 어떻게 글을 쓰는지 궁금한 이들에게 참 친절한 책이다. 그것은 덤이다.


우리는 어려서 일기와 독후감 과제를 해왔다. 물론 숙제이기 때문에 반강제로 했지만 지금 생각하니 그것이 자기 성찰의 시작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있다’와 ‘것’과 ‘수’를 남발하고 있지는 않은가?


자신이 써 놓은 글 중에 ‘있다’와  '것'과  '수' 를 남기지 말고 고쳐보라고 저자는 조언한다. 그렇게 고쳐 쓴 글에서 다시 ‘너무’와 ‘같다’처럼 별 생각 없이 쓰는 단어도 제거하고 단어만 바꿔 넣기가 어색한 경우에는 문장 전체를 바꿔 쓸 수 있어야 하며 ‘거기에서 문장 쓰기 공부가 시작 된다’고 조언했다.


생각해보니 ‘같다’라는 말은 내가 참 잘 사용해온 말이다. 자신의 생각마저도 모호하게 처리해버리면 그 글을 읽는 독자는 어떻게 해석하라는 건가. 애매모호한 표현은 쓰지 말고 에둘러 표현하지 말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글이 독자에게 의미전달을 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한다.


배움에 끝이 없다는 말에 실감한다. 배우고 또 배워도 언제나 배울 것은 산더미처럼 쌓여 있으니 우리가 얼마나 바쁘게 살아야 하는지 시간을 얼마나 쪼개어 써야 하는지 작은 일 하나하나에 진리는 굽이굽이 숨어있다.


이 책은 문학적 글쓰기 뿐 아니라 대중적 글쓰기에도 적합한 교재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11-24 09: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있다’와 '것'과 '수'
저도 줄여야 하는디..

연잎차 2006-11-25 19: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죠. 저도 마찬가지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