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과학기술인이 일,가정을 양립하면서 생산성과 성과를 낼 수 있는 일자리 운영모델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태조사 결과, 선진 사례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하여 조직이 처한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 관리, 인적자원 개발, 법제도 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일자리 운영방안으로 도출한 연구이다.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일,가정 양립이 생산성을 도외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함

둘째, 매우 장기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

셋째, 일,가정 양립은 근로자의 편안한 삶을 구가하는 일방적인 주장이 아니라 인적자원의 전략적 활용의 문제

넷째, 일,가정 양립은 자기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바탕이 될 때 올바로 정착

다섯째, 일,가정 양립은 국가경쟁력의 문제

여섯째, 리더의 역할이 중요함

일곱째, 법제도의 틀은 선진적이나 실제 실행은 충분치 않으므로 법제도의 적극적 시행이 필요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내용과 범위

   인적자원 관리 측명, 인적자원 개발 측면, 법제도적 이슈, 적극적고용개선조치 시행 경과와 결과

3. 연구방법

   양적, 질적 조사방법, 절차, 범위, 내용, 인적자원관련 조사 항목 및 비법

4. 사례 조사 내용

    일,가정 양립이 가능한 일자리 운영 방법, 북미 사례 소개, 유럽 사례 소개, 국내 사례 소개

5. 국내 실태조사 결과

    조사방법, 대면 인터뷰/세미나 결과 및 시사점

6 일. 가정 양립가는 일자리 운용 모델 도출

   도입전략, 프로그램, 제도적 도임

7. 시사점

    : 실행 방안 및

 

오랫만에 읽은 연구보고서인데,

뾰족한 방안은 없고,

일가정 양립 가능한 일자리 운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전체적인 관련 법,제도 조사,

인식, 문화에 대한 필요 등등을 정리한 것으로 보여진다.

 

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방안 중 정말 괜찮은 방안 하나는

여성 과학기술인의 예술인과의 결혼이다.

예술인은 연구직이나 회사원처럼 얽매이는게 없어서

탄력적으로 육아를 할 수 있다.

여성의 경력단절도 걱정하지 않고, 오히려 지속적인 경력개발에 큰 도움이 될만한

예술인과의 결혼,, 돈에 대한, 명예와 권력에 대한 욕심만 조금 버리면

가능한 일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