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 세트 - 전3권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박형규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나는 안정된, 그러나 영혼이 없는 결혼생활과 아들을 저버리고

사랑을 찾아 새로운 삶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새롭게 찾아간 그곳에서는 숨을 잘 쉬지 못한다.

딸을 낳았고, 인간의 사랑은 변하고,

극도의 모순을 직면한 순간에 분열적으로 삶을 생 밖으로 몰아낸다.

 

브론스키, 마음이 이끄는대로 유부녀와 어려운 사랑을 시작한다.

안나에게 닥친 한계에 같이 힘들어하지만 그에게도 방법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안나가 그렇게 삶을 내던진 순간, 얼마나 막막했을까.

영화에서 이 대목에서 브론스키를 비추면서 모든 음향이 멎었던 것처럼

사랑을 선택한 댓가에 대해 얼마나 기막힌 현실을 맞이해야 했을까.

 

카레닌,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아가는 그에게, 단지 영혼이 약간 결핍되었을 뿐인데

그에게 닥친 일은 좀 가혹했다. 그러나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용서까지도 하고,

이해할 수 없는 생을 살다가 엄마 잃은 브론스키의 딸까지 거두는 인생이다.

 

레빈, 안나의 대척점에 서 있는 인물.

진리, 추구해야 할 대상, 인생의 가치관에 대한 끝없는 고민에 삶을 어떻게든 맞춰보려고

생각이 많다. 어긋난 청혼을 적절한 타이밍으로 만회하여 고단한 인생에서

생의 기쁨을 제대로 맛본다. 천사같은 키티와 조심스럽고 행복한 행보를 걷는다.

 

그 외에도 다양한 사람과 사회적 배경을 통해서

인간의 생의 모순과 슬픔, 인간의 가치에 대해서

깊은 고민을 다루는 이야기이다.

 

소설을 오랫동안 읽고 난 후, 영화 [안나 카레니나, 2013, 조 라이트]를 보았다.

 

소설의 묘사를 통해 유추했던 인간을 비로소 만나보니 이해가 한층 쉬웠고,

영화속의 액자식 구성이 흥미로웠다.

그러나 안나의 심경의 변화, 브론스키와 만나는 초기 주요 장면이 주는 감동에 비할 바 아니다.

안나가 잘했다고 여겨지지 않지만 이해가 되고,

브론스키의 행보도 이해가 되도록 연출과 연기력도 무척 뛰어난 영화였다.

 

영화도 원작 소설의 작품성에 전혀 누가되지 않을만큼 훌륭했다.

안나 역의 키이라 나이들리, 브론스키역의 애런 존슨은 정말 탁월한 캐스팅이었다.

 

누군가의 서평에 의하면 소설이 집필될 당시에 안나와 같이 바람을 피우는 여자를

가부장적인 이데올로기를 벗어나 이렇게 인간적으로 그려내었다는 사실이 무척 탁월한 점이라고 하였는데

무척 공감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