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선 한국 가곡 1
Various Artists 노래 / Kakao Entertainment / 1997년 11월
평점 :
품절


가곡을 처음 들었던 때가 언제였나. 중학교 시절 음악시간이었다. '보리밭 사잇길로 걸어가면 뉘이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 옛 생각에…' '보리밭'이라는, 초등시절의 동요와는 차원이 다른, 가곡이란 것을 처음 들었을 때의 신선한 설렘은 아직도 기억의 저장고에 남아 있다.

그렇게 '보리밭'을 시작으로 '동무생각', '사공의 노래', '떠나가는 배', '봄처녀' 등을 배웠다. 중학교 시절엔 도레미 자리도 제대로 몰라 이론시간이면 선생님의 진노에 식은땀을 흘렸지만 가곡을 부를 때만큼은 모든 시름을 잊을 수 있었다.

고등학교 시절의 음악선생님은 한층 더 예술가연한 선생님이었다. 얼굴표정을 얄궂게 지으며 모든 신경을 배에다 집중하여 한 올 한 올 고음의 맑은 소리를 뽑아 올리셨다. '끝없는 구름길 어디를 향하고, 그대는 가려나 가-려나….' 선생님의 목소리가 너무도 애잔하여서 막연하게나마 별리의 아픔은 저렇게 애를 끊는 듯하구나 싶었다.

그러다 대학 2학년 때인가 본격적으로 음악이란 것에 탐닉하였는데, 한국가곡도 빼놓을 수 없는 한 장르였다. 당시 서울음반에서는 <특선한국가곡>이라는 시리즈를 내었다. 나는 그 테이프의 1번부터 6번까지를 몽땅 사서 듣고 또 들었다.

듣다가 공 테이프에 특별히 좋아하는 곡들만 엄선하여 복사를 하였다. 지금도 그때 내 나름으로 엄선한 가곡들을 들을 때 즐거웠던 기억을 잊을 수 없다. 특히 겨울이면 눈에 대한 그리움과 함께, 또 해마다 봄이면 신록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가곡의 가사와 멜로디에 항상 취해 살았다.

메조소프라노 백남옥, 바리톤 오현명, 소프라노 김윤자 등등 성악가의 이름을 외는 것도 상당히 재미있었다. 그렇게 외운 이름들을 <봄맞이 한국 가곡의 밤>인가 하는 녹화방송에서 얼굴과 이름을 한 사람 한 사람 연결시켜 보았을 때의 짜릿함이란.

그러다 어느 순간 엄정행은 '보리밭', 박인수는 '가고파', 백남옥은 '비목', 오현명은 '그 집 앞' 식으로 이 가수는 이 노래, 저 가수는 저 노래로 메뉴가 고정되는 것이 갑갑하였다.

메조소프라노 백남옥이 TV에 나올 때면 이번에는 다른 곡 좀 부르겠지하고 기대를 하나, 항상 보면 '비목'을 부르곤 하였다. 성악이야말로 하나의 노래로 열 사람이 부르면 열 사람의 느낌이 다 다름을, 다른 그 어떤 음악 장르보다 확연히 느낄 수 있기에 그만큼 듣는 재미가 솔솔할진대, 그런 다양함을 보여주지 않는 것이 안타까웠다.

그런데 예외가 하나 있었으니 다름 아닌 KBS 1FM의 <정다운 가곡>이었다. 정다운 가곡은 하나의 곡을 여러 사람의 목소리로 다양하게 들려주었다. 그래서 왜 정다운 가곡은 저녁 9시 30분부터 10시까지 딱 30분밖에 하지 않는지 때론 원망스러웠다.

그러나 다행히 90년대 초반부터 'FM 신작가곡'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하였다. 노래를 부르는 이들도 기존에 들었던 사람들에 국한하지 않고 신인들의 목소리도 다양하게 들을 수 있었다. '내 맘의 강물 끝없이 흐르네', '기다림', '사비수', '님의 노래' 등등 신작가곡들은 나오는 족족 마음에 들었다.

그러다 한 몇 년은 이런 저런 사정으로 가곡을 듣지 못하다가 첫아이를 낳기 얼마 전 불교방송의 <차 한 잔의 선율>에서 바리톤 오현명이 부르는 '사월의 노래'를 들었다. 오오, 그때의 그 감격이란. 목월 시에다 곡을 붙인 사월의 노래는 기억이 가물하나 소프라노 배행숙님이 자주 부르던 노래였다.

소프라노의 음색으로만 듣던 노래를 원곡보다 조금 느리게 해서 바리톤 오현명이 부르니 아주 색다른 느낌이었다. '목련꽃 그늘 아래서 베르테르의 편질 읽노라…' 나는 며칠을 걸려도 좋으니 오현명의 '사월의 노래'를 틀어주십사 기대를 하며 녹음준비 완료하고 <정다운 가곡>을 들었다.

며칠이 걸렸는지는 기억하지 못하나 아무튼 나는 녹음을 하였다. 나는 그 '사월의 노래'에다 '님의 노래', '기다림' 등 몇 곡을 90분짜리 테이프에 반복 녹음하여 듣고 또 들으며 그 봄을 났다. 그리고 둘째 아이가 태어나던 2002년의 봄 나는 또 다시 그 테이프를 찾아서 들으며 봄 한철을 이겨냈다.

요즘은 아이들에게 가곡을 들려주고자 일부러 취침시간을 9시 30분으로 하였다.

"얘들아, 정다운 가곡 할 시간 되었다. 자러 가자."

얘들이 잠들기를 기다리며 자는 척하는 시간은 단 10분도 따분하기 쉬운데 정다운 가곡을 들으면서 잠을 재우자 그런 심심함을 면할 수 있어서 좋다.

불을 끄고 가곡에 귀 기울이면서 이런 저런 얘기를 주고받다가 <정다운 가곡>이 끝나고 <당신의 밤과 음악> 시그널이 나오면 하품을 한 번 하면서 잠이 쏟아지는 시늉을 한다. 그러면 아이들은 재잘거림을 그만두고 잠을 청한다. 때로는 바로 잠들지 못하고 <당신의 밤과 음악>을 십분쯤 듣다가 잠에 빠져들기도 하는 것 같았다(<당신의 밤과 음악>은 또 얼마나 영혼을 스며드는 프로인가).

결론(?)은, 30분이라는 아주 짧은 시간이지만 KBS 1FM의 <정다운 가곡>은 매우 좋은 프로이다. 연주음악이야 하루 종일 들을 수 있지만 우리 가곡은 단 30분뿐이다. 그래서 그 시간이 야금야금 가는 것이 아쉽다. <정다운 가곡>이 30분이 아닌 한 시간쯤 하기를 비는 내 소원은 언제 이뤄지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