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자꾸 보고 싶은 세계 명작 동화
삐아제어린이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내가 처음으로 책이란 것을 읽게 된 것은 초등학교 6학년 졸업을 앞둔 무렵이었다. 요즘아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시작하여 1살, 2살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단계별로 별의별 책을 다 선물받지만 내 어린 날 책 구경은 그때가 처음이었다.

그러나, 졸업을 앞둔 시점이었기에 여남은 권 읽자 더 이상 읽을 수가 없게 되었다. 그러면 뭔가 아쉬워지면서 중학교 들어가서도 학교 도서관을 찾고 해야 될 텐데 그러지 못했다. 동화책을 처음 접해 짧은 시간에 여남은 권을 읽었으니 그것만으로도 '마이 묵었다'는 만족감이 일었었다, 참내.

그때 우리들이 주로 읽었던 책은 <알프스 소녀 하이디> <검은말 이야기> <소공녀> <소공자> <왕자와 거지> <빨간 머리 앤>등이었다. 요즘 견지에서 보면 '약이 되기보다 독이 되기' 쉬운 동화들일수도 있겠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런류의 책들이 어느 정도 내 심리에 영향을 미친것도 같다, 물론 '독' 까지는 아니겠으나.

그런 빈약한 어린 날을 보냈던 내가 책을 좋아하게 되었다니. 그 때 그 '결핍'이 뒤늦게 '욕구'가 되어 빛을 발하다니 인생의 진행 경로는 알 수가 없어라. 또, 배꼽 잡을 증세는 뜬금없이 그 옛날에 못 읽었던 세계명작 동화나 위인전 시리즈를 내 나이 마흔 즈음에 불현듯
한꺼번에 왕창 쌓아두고 읽고 싶어졌다는 것이다.

이미 인생의 불혹이니 약이니 독이니 따질 필요도 없을 터이고, 다만 너무 궁금해 미치겠는 것이다. 제목은 알되 읽어보지 못한 동화가 너무 많다. 그래서 요즘은 어떻게 그 동화들을 구할까 궁리중이다.

내 돈으로 사기보다 아이를 중학생으로 올려 보내는 집을 수소문해 헐값에 왕창 처분해줍쇼 청을 넣고 싶은데 잘 만나질지 의문이다.

겸사겸사 '자리끼'로 아이에게 해주던 이야기가 바닥이 났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제 초등생이 되는 첫째아이는, 어릴 때는 하나의 얘기로 수십 번 우려먹어도 재미있다고 했는데 요새는 서너 번 들으면 이미 다 아는 얘기라며 새로운 것을 주문한다.

해서 도랑치고 가재잡고, 누이 좋고 매부 좋고 한번 읽어보고 싶은 것이다. 물론 아이에게 얘기해 줄때는 나름의 상상력으로 각색하여 전혀 다른 얘기가 될 터이지만.

'아무튼 위인전과 명작동화여, 조만간 당신들을 만나러 갑니데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