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 김서영의 치유하는 영화읽기 정신분석과 미학총서 5
김서영 지음 / 은행나무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를 좋아하다 보니 내가 좋아하는 영화를 영화평론가들은

어떻게 말했나 궁금해져 영화평론가들의 책을 사보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런 분들의 영화얘기는 왜이리 재미가 없는지...

영화로 정신분석, 제목은 얼마나 좋아.

저자의 분석력이랄까, 학식은 유추가 되나.... 문제는 저자가 영화를 즐기면서 감동을 느끼면서

보는게 아니라, 너무 괴롭게 보는것 같아 이글을 읽는 내 맘이 편치가 않았다.

 

분석 대상에 든 영화들도 내가 좋하하는 영화는 별로 없고

몇몇 작품들 빼고는 다 내 눈에는 하나도 재미없는 작품들을 분석해 놓으셨다.

 

이 저자뿐만아니라 '철학, 영화를 캐스팅 하다'의 저자도 그렇고

김용석 아자씨의 영화책도 그렇고

내눈에는 왜 다 지루한고야?

 

이에 비하면 토요일 저녁 대구 문화방송의 심영섭의 '힐링 시네마'는 정말 봤던 영화도

다시 한번

보고싶게 만들어 주는 영화프로이다.

'힐링 시네마'와 같은 영화분석책을 보고 싶다.

 

저자의 정열은 본받을 만하나, 아니 본받아서는 안되야.

 

유학을 앞두고 정신 분석 공부에 좋은책 70권을 골라 100일동안 외출도 않고  읽었는데

얼추 책도 다 읽고 100일도 지나고 좀 일어나 볼까 하던 찰나 삐거덕~~

허리뼈 4,5번이 나가서 치료하느라 유학을 일년 미루었다나.... 넘 열심히 살지 말아요.^^

 

이분은 설렁 설렁 살고

우리는 70권에 100일은 못해도 10권에 10일은 도전해 봐도 되지 않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oname 2008-02-24 2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너무너무 좋던데요..저자는 충분히 영화를 즐기면서 봤다고 생각합니다. 즐긴다는 게 단지 감정의 움직임뿐만이 아니라 감상자의 생각을 일깨우는 역할을 하는거라고 보면 더욱 그렇죠. 정신분석 이론을 그렇게 영화에 쉽게쉽게 녹여낸 책을 처음 봐서 저는 환호했었답니다. 힐링 시네마는, 책과 영상이라는 매체의 차이 아닐까요?

폭설 2008-02-27 04:03   좋아요 0 | URL
어쩌면 저랑 위의 저자랑 성격이 정 반대라서 공감이 가지 않았는지도
모르겠어요. 저는 모든게 설렁설렁이라서 되는 일이 엄써요. ㅋㅋ..

<힐링 시네마>는 티비 책읽기의 영화버전으로 티비 영화읽기 쯤 되겠죠?
왕상한 진행의 책읽기 프로는 가끔 날카로운 비판도 하지만
힐링시네마는 단순 스치는 것도 의미있게 해석해주고 매사
긍정적으로 보죠. 그치만 그 긍정이 별로 나쁘지는 않아요.

단점은 각자 시청자 속으로 생각하며 되니까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