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평등에 반대한다 도란스 기획 총서 1
정희진 엮음, 정희진.권김현영.루인 외 지음 / 교양인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의 의미가 무엇인가.

여대를 다닐 때, 한 때 세상을 바꾸고자 노력했던 친구가 대학교의 여학생회에서 활동하면서 여성들의 독립적인 휴게 공간이나 화장실 설치 같은 것을 위해 애쓰는 것을 보면서 가슴을 쓸어내린 적이 있었다. 내가 거기 있지 않아서 다행이다 싶었다. 사실 어찌해야 할지를 잘 몰랐던 것 같다. 남녀가 평등하지 않은 건 분명한데 남녀 평등을 위해서 여성들이 스크럼을 짜고 여성들만의 문제를 소리 높여 외치는 것이 맞는지 잘 몰랐던 것 같다. 여성 보다는 인간! 이어야 할 것 같은데.... 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지금의 나에게 여성이 어떤 의미인지는 잘 모르겠다. 지금이야말로 여성보다는 인간, 으로 살고 싶은 때이고, 그렇게 사는 것도 같다. 나의 성이 내 삶에 미치는 영향은 잘 모르겠다.

책의 제목 부터가 주의를 끌었다. 여태껏 페미니즘이 추구한게 양성평등 아니었나? 일단 평등의 의미부터 따지고 볼 일이다. 똑같은 게 아니라는 것이다. 각자 자신의 처지와 맥락에서 인간적으로 공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세상은 이미 양성이 아니라고 한다. 어떻게 보면 성적인 특성이 각자의 삶에서 큰 의미를 가지지 않은 것은 가장 평등한 삶일 수도 있다. 타고난 성이 개인의 삶에서 이점도 제한도 아닌 그냥 하나의 인간적인 특성이 되면 그거야 말로 평등한 세상 아닌가.

미성년자 의제 강간이나 음란과 폭력에 대한 제고는 읽으면서 주장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헛갈리는 부분도 있었다. 전제들에 대한 나의 이해가 부족한가? 아님 논리 전개가 산만해서 그런가? 휘리릭 읽히지는 않는다.

개신교의 동성애 혐오 부분이 나로서는 이해도 쉽고, 재미도 있었다. 그저 막연히 눈쌀을 찌푸리다가 그 역사와 배경을 이해하니 이제 좀 더 명료하게 그들의 논리에 반대할 수 있겠다, 싶다.

페미니즘, 자칫하면 길을 잃을 수 있겠다, 싶다. 전선을 어떻게 긋느냐에 따라, 싸움의 양상이 본질에서 멀어질 수 있는 위험이 상당하다. 공부가 더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기부터 시작하는 글쓰기 수업
이권우 지음 / 한겨레출판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 칼럼니스트, 혹은 서평가. 라는 직업이 참 난해하다. 책이라는게 너무나 다양한데 그 많은 책을 아울러 책에 대해 제대로 말해줄 수 있는 전문가라는 게 처음부터 불가능하지 않은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읽기 전반의 공통적 속성이 있으니 그에 기초하여 무슨 이야기든 할 수 있을 것도 같다. 저자의 경험에 기초하여 읽기와 관련된, 결국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는 이야기들을 하고 있다.

 글쓰기의 경우도 소설이나 시가 아닌 생각을 담은 글, 짧은 칼럼, 사설, 혹은 서평 같은 것들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소개하고 있다. 읽고, 쓰는 삶. 읽으면서 기록하고, 쓰는 사람. 그것만으로도 행복할 수 있는 사람. 그렇게 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이가 스승이고, 모든 곳이 학교다 - 우리 시대 멘토 11인의 평생 공부 이야기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 기획, 신영복 외 지음, 김영철 엮음, 김영철 인터뷰어 / 창비교육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치있고, 의미있고, 보람되면서도 재미있는 삶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깨달음이 있는 삶이라고 하고 싶다. 이 책의 모든 이들의 공통점은 평생 깨어있으며, 배우며, 깨닫고, 깨달은 바를 실천하고자 하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배움에 대한 열정을 가진 사람들은 모든 이들을 존중하고 평등하게 대할 줄 안다. 늘 자신의 의식을 돌아보고 생각의 근원에 대해 의심을 품는다. 신중하고 열려있으며 열정적이다. 그렇다. 내가 원하는 삶이고, 내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다. 그런 이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 나이듦에 스스로 맥빠져하던 요즘, 뭔가 힘을 낼 수 있게 해준 책을 만나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대환의 시민을 위한 한국현대사
주대환 지음 / 나무나무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1987>을 봤다. 1987이 가능했던 건 그저 이웃의 아픔에 공감하는 평범한 사람들, 각자 자신이 있는 곳에서 원칙에 충실한 직장인들이 있었던 탓이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김정남, 이부영 같은 인물들이 뭔가를 끊임없이 조직한 결과인 듯도 보였다. 무슨 일이 있었지? 난 그저 선배들의 영웅담으로 1987을 기억하고 있었다. 그들이 이야기 한 신발무덤, 최루탄 가스, 백골단의 사나움....

 <주대환의 시민을 위한 한국 현대사>를 읽었다. 역사나 정치 같은 것이 중요한 건 알겠는데 나에게는 열공이나 탐닉의 대상이 아니었음을 고백한다. 그저 의무감으로 공부해야지.... 그러다가 금새 흥미를 잃게 되는. 그래도 처음부터 끝까지 읽었다. 아마도 영화 탓이 크리라. 역사는 결국 해석이나 중요한 것은 관점이다.

 민주주의라는 형식이 많은 변화를 가능하게 했음을 절감한다. 왕정이면 절대 불가능한.... 그래서 민주주의 시대의 역사는 당연히 시민들의 역사이다. <1987>도 시민들의 역사이다. 영웅이 만들어내는 역사가 아니라. 그걸로 되었다. 내가 소중한 만큼 타인들도 소중하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역사.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는 세상을 향한 소망을 가진 사람들의 헌신이 빛나는 그런 세상, 을 우린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런 희망으로 되었다.

 책을 읽으면서는 사실 내가 역사에 그닥 큰 관심이 없다는 걸 확인했다.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왜 그럴까? 그것이 책의 내용과 상관없이 나의 큰 의문이다. 역사는 결국 팩트의 편집과 해석이라면 서술된 역사서는 그 사람의 역사 해석 아닌가. 나의 역사 해석을 위해서 나는 무엇을 보아야 하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래된 미래 - 라다크로부터 배우다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지음, 양희승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언을 보면서 살짝 지치는 듯 했다.

끝까지 이러면 어쩌지?

서언과 본문이 이렇게 분위기가 다른 책을 이전에 본 적이 없는 듯 하다.

라다크... 어떤 분위기일지 알 것도 같다.

척박한 기후와 생존 조건에서 공동체에 의지하지 않으면 살 수 없는 그 곳에서 공유와 평등이 얼마나 중요했을지 알 것 같았다.

그런데, 그 공동체가 문명 앞에서 무너진다.

그 무너짐을 보는 것이 가슴이 아팠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인가?

그냥 주어진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삶이 아니라 의식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냥 주어진 조건에서 이루어진 삶이라면 조건이 바뀌면 삶도 바뀐다.

경험과 훈련을 통해 만들어진 내공.

경험에 대한 통찰 그리고 예측가능성을 통해 우린 자신의 현재를 돌아보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

미래의 답은 과거에 있다.

왜 오래된 미래이냐고...

우리의 미래는 낯설지 않다.

이미 경험한 것들 안에 미래 우리가 나아가야 할 삶의 방향이 있다.

중요한 건 함께 살아가는 거다.

평화롭고 인간적으로, 서로 존중하며 사랑하며... 아주 아주 예전부터 알아왔던 것 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