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평등에 반대한다 도란스 기획 총서 1
정희진 엮음, 정희진.권김현영.루인 외 지음 / 교양인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의 의미가 무엇인가.

여대를 다닐 때, 한 때 세상을 바꾸고자 노력했던 친구가 대학교의 여학생회에서 활동하면서 여성들의 독립적인 휴게 공간이나 화장실 설치 같은 것을 위해 애쓰는 것을 보면서 가슴을 쓸어내린 적이 있었다. 내가 거기 있지 않아서 다행이다 싶었다. 사실 어찌해야 할지를 잘 몰랐던 것 같다. 남녀가 평등하지 않은 건 분명한데 남녀 평등을 위해서 여성들이 스크럼을 짜고 여성들만의 문제를 소리 높여 외치는 것이 맞는지 잘 몰랐던 것 같다. 여성 보다는 인간! 이어야 할 것 같은데.... 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지금의 나에게 여성이 어떤 의미인지는 잘 모르겠다. 지금이야말로 여성보다는 인간, 으로 살고 싶은 때이고, 그렇게 사는 것도 같다. 나의 성이 내 삶에 미치는 영향은 잘 모르겠다.

책의 제목 부터가 주의를 끌었다. 여태껏 페미니즘이 추구한게 양성평등 아니었나? 일단 평등의 의미부터 따지고 볼 일이다. 똑같은 게 아니라는 것이다. 각자 자신의 처지와 맥락에서 인간적으로 공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세상은 이미 양성이 아니라고 한다. 어떻게 보면 성적인 특성이 각자의 삶에서 큰 의미를 가지지 않은 것은 가장 평등한 삶일 수도 있다. 타고난 성이 개인의 삶에서 이점도 제한도 아닌 그냥 하나의 인간적인 특성이 되면 그거야 말로 평등한 세상 아닌가.

미성년자 의제 강간이나 음란과 폭력에 대한 제고는 읽으면서 주장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헛갈리는 부분도 있었다. 전제들에 대한 나의 이해가 부족한가? 아님 논리 전개가 산만해서 그런가? 휘리릭 읽히지는 않는다.

개신교의 동성애 혐오 부분이 나로서는 이해도 쉽고, 재미도 있었다. 그저 막연히 눈쌀을 찌푸리다가 그 역사와 배경을 이해하니 이제 좀 더 명료하게 그들의 논리에 반대할 수 있겠다, 싶다.

페미니즘, 자칫하면 길을 잃을 수 있겠다, 싶다. 전선을 어떻게 긋느냐에 따라, 싸움의 양상이 본질에서 멀어질 수 있는 위험이 상당하다. 공부가 더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