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대환의 시민을 위한 한국현대사
주대환 지음 / 나무나무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1987>을 봤다. 1987이 가능했던 건 그저 이웃의 아픔에 공감하는 평범한 사람들, 각자 자신이 있는 곳에서 원칙에 충실한 직장인들이 있었던 탓이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김정남, 이부영 같은 인물들이 뭔가를 끊임없이 조직한 결과인 듯도 보였다. 무슨 일이 있었지? 난 그저 선배들의 영웅담으로 1987을 기억하고 있었다. 그들이 이야기 한 신발무덤, 최루탄 가스, 백골단의 사나움....

 <주대환의 시민을 위한 한국 현대사>를 읽었다. 역사나 정치 같은 것이 중요한 건 알겠는데 나에게는 열공이나 탐닉의 대상이 아니었음을 고백한다. 그저 의무감으로 공부해야지.... 그러다가 금새 흥미를 잃게 되는. 그래도 처음부터 끝까지 읽었다. 아마도 영화 탓이 크리라. 역사는 결국 해석이나 중요한 것은 관점이다.

 민주주의라는 형식이 많은 변화를 가능하게 했음을 절감한다. 왕정이면 절대 불가능한.... 그래서 민주주의 시대의 역사는 당연히 시민들의 역사이다. <1987>도 시민들의 역사이다. 영웅이 만들어내는 역사가 아니라. 그걸로 되었다. 내가 소중한 만큼 타인들도 소중하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역사.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는 세상을 향한 소망을 가진 사람들의 헌신이 빛나는 그런 세상, 을 우린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런 희망으로 되었다.

 책을 읽으면서는 사실 내가 역사에 그닥 큰 관심이 없다는 걸 확인했다.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왜 그럴까? 그것이 책의 내용과 상관없이 나의 큰 의문이다. 역사는 결국 팩트의 편집과 해석이라면 서술된 역사서는 그 사람의 역사 해석 아닌가. 나의 역사 해석을 위해서 나는 무엇을 보아야 하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