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왕 독살사건 - 조선 왕 독살설을 둘러싼 수많은 의혹과 수수께끼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덕일은 한국사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는 소장 역사학자이다. 소위 '학계'라는 테두리 안에 머물지 않고, 역사학계의 변방에서 대중들을 위한 책들을 쉼없이 써왔다. 그러기에 그의 책은 항상 도발적이고, 선명한 자신의 주장을 담고 있다. (그의 필생의 사명은 일제 식민사관의 잔재를 완전히 걷어내는 것이라 한다.)
<조선 왕 독살 사건>은 독살설의 의혹을 받고 있는 조선조 7명의 왕들과 소현 세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책은 실제로 독살이 벌어졌는가하는 의혹 여부에 주목하기 보다는 해당 왕들의 집권기에 벌어졌던 일들과 그들의 죽음 전 후에 있었던 역사적 사건들을 흥미진진하게 조명한다. 미스터리 소설로 본다면 죽음을 둘러싸고 이익을 얻은 집단이나 개인, 그리고 그들의 관계에 집중하는 "동기 중심 주의"인 셈이다. 몇 백년 전에 일어난 일들을 낯낯이 파헤치기란 애시당초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리라.
저자는 또한 과감하게 역사에 가정은 없지만, 만약 이러한 독살설이 사실이고, 그 당시에 이런 일들을 미연에 방지하여 피해자가 되었던 임금들의 치세가 조금 더 지속되었다면 조선 왕조의 역사는 바뀌었을 것이라고 진단한다.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중 선조를 제외한다면 급작스러운 왕들의 죽음이 결국 국가적으로 좋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조선 왕조를 바라보는 저자의 시선은 그의 초기 저서인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부터 <사도 세자의 고백>과 본 책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관점을 유지한다. 당쟁의 폐해와 노론의 장기집권, 지나친 왕권의 약화 등이 조선을 멸망케 했다는 시각이 바로 그것이다. 임진 왜란 이후의 조선은 왕의 나라가 아니라 사대부들의 나라였으며 사대부들의 보신주의와 안일함, 반동적 성향이 근대 국가로의 개혁을 실패하게 했다는 저자의 주장은 결과론적으로 돌이켜 볼 때 타당하다. 그러나 거꾸로 생각한다면 왕을 정점으로 한 사대부들의 통치를 꿈꾸었던 정도전과 그의 도움을 얻어 조선조를 창업했던 이성계의 역성혁명이 없었더라면, 조선이라는 왕조가 아예 없었더라면, 하는 가정도 역시 유효한 것이 아니겠는가? 역사에서 "만약 이랬더라면?"하는 가정이 큰 의미가 없는 이유이다.
역사학은 사회 과학처럼 온전히 가치 평가에 의존하는 학문은 아니다. 역사란 과거에 있었던 실제 사건이기 때문이다. 역사를 어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은 개인의 주관과 사관(史觀)에 따라 분분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적어도 실제적인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것이어야 한다. 이덕일의 대중을 상대로 한 역사학적 작업들은 큰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특정한 한 사람에 의한 역사의 대중화는 TV의 사극 드라마를 통한 일반인들의 잘못된 역사인식 만큼의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이덕일의 책이 워낙 재미있기 때문에 이런 위험이 상존하는 것이겠지만, 자신만의 학문을 추구하는 사람이 아닌 일반 독자인 나로서는 여러 역사학자들의 고른 시각을 골고루 섭취하여 치우침 없는 역사적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한 일이겠다. 아직 조선 후기까지 미처 나오지 못한 박시백의 <조선왕조 500년>이나 이이화 선생의 <한국사 이야기>등과 이 책을 병행해서 읽는 다면 더욱 큰 재미와 유익함을 누릴 수 있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