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업을 왜 하지? - 꼼꼼하게 들여다본 아홉 개의 수업 장면
서근원 지음 / 우리교육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이 흥미를 끌었던 것은 (아마도) 실명으로, 실제의 학교 수업을 비디오나 오디오로 기록하듯이 고스란히 담아놓아 남의 수업을 들여다 보는 재미를 주었기 때문이었던 듯하다. 다른 이의 수업을(가능하면 날것으로 보는 게 더 좋지만) 들여다 보면 이만저만 도움이 되는 게 아니다. 그래서 나는 연구수업이 아니더라도 동료의 양해를 얻어 자주 수업참관을 한다. 대개는 아이, 별거 없는데, 그러면서 쑥스러워 하지만 사실은 그 별거 없는 수업, 자습도 시키고 학습활동도 풀고 이 단원에서 저 단원으로 어설피 넘어가는 그 순간을 보아도 그 교사의 아이들 대하는 방식을 읽을 수 있다. 돌발상황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얼마나 아이들을 존중하는지, 유머감각과 융통성이 있는지, 자기 교과에 능통한지, 아이들을 잘 다루는지, 정말 사랑하는지...
물론 이 책은 초등학교 현장을 다루고 있어서 내 입장에선 좀 아쉽기도 했지만 어쨌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필자가 어떤 경로로 섭외한 수업인지는 몰라도 잘 꾸며진 수업이란 느낌이 들지 않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럽다. 잘 꾸며진 연구수업, 공개수업은 참으로 많이 보아왔다. 평소에 쓰지 않던 경어를 쓰고, 평소에 쓰지 않던 학습목표를 칠판 왼쪽 위에 적어두고, 평소에 잘 하지 않던 모둠 수업, 멀티미디어 수업도 하고, 심지어는 한 번 리허설도 하는 그런, 그런 수업을 보고 얻는 것은 별로 없다. 짜고 치는 고스톱인 걸 안다.
우리는 '쌩쑈'를 통해 다른 동료들도 나만큼 애들과 씨름한다는 걸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난장판 교실에서 아이들을 정돈하고 차분히 수업을 이끌어가는 노하우를 배울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책이 마음에 들 만하다가도 의문이 드는 건, 그렇다고 일부러 때로는 느슨하고 때로는 안이한 수업조차를 취재에 넣은 것인지 하는 거다. 꼼꼼히 들여다본 아홉 장면의 수업이라며, 책 한 권에 고작 아홉 장면이라면 유형화가 되어서 엄선되었어야 하는 게 아닐까. 아, 물론 그들 중 유창한 수업과 늘어지는 수업, 아이들이 움직이는 수업과 교사의 카리스마로 살아남는 수업, 많은 교재와 도구를 현란하리만큼 사용하는 수업과 교과서 하나로 감동을 주는 수업을 횡으로 종으로 잘 짜면 더 좋을 터이겠다. 그렇지 않더라도 '아홉'이라고 선정되려면 어떤 '이유'가 있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렇더라도, 체계화가 되지 않았더라도, 아홉 아니라 열아홉 장면의 수업이, 장면 그대로 실렸더라면 난 더 재미나게 읽고 얻는 바가 많았을 것 같다. 필자는 어떤 소명을 느끼며, 전문가적 안목으로(현장과 이론을 겸비한 입장에서) 각 수업에 대한 평가를 달아준다. 그 평가들이 나의 평가와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떠나지 않는 거부감. 차라리 그냥 수업만 보여주었더라면,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제기와 교사의 자질 및 교육관에 대한 문제제기는 무엇이 선이고 후인지에 대해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한다. 의미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필자가 성심껏 쓴 것이 느껴진다. 그러나 교육과정이 문제라는 것인지, 아니면 교사의 자질이 문제라는 것인지, 그러니까 교사가 줏대와 가치관을 세워 수업을 잘 하라는 것인지 교육부보러 교육과정을 잘 세우라는 것인지, 교사에게 잘못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라는 것인지 말라는 것인지...
내가 보기엔 아홉 교사는 각기 단점 못지 않게 흔히 볼 수없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런 걸 칭찬해 주었더라면 지금쯤 그 교사들, 더 뿌듯해 있진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