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절 기념대회에서 p를 도왔다. 지루한 식순과 내빈소개를 거쳐 절절한 선언문 낭독이 이어졌다. 일이 아니었다면 카달로그 하나 힐끗하지 않았을 행사였다. 순서 중에는 학생들이 준비한 연극공연이 있었다. 연극 스텝들이 오퍼레이터를 자처해 할 일이 없어진 나는 자리에 앉아 짤막한 극을 관람했다.
리허설에선 까불대던 녀석들이 대사를 제대로 치는 건 물론이고 점점 연극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내빈 소개 후 빠져나간 내빈들의 빈자리가 여럿 보였다.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는 할머니 할아버지들도 눈에 띄었다. '빠가야루'라고 할 때마다 킥킥대는 웃음소리와 대사 하나하나마다 논평하는 누군가의 목소리는 좀 거슬렸다.
연극을 하는 학생들이 만세를 외칠 때마다 할머니 할아버지들도 같이 만세를 외쳤다. 앞쪽에 앉아 있는 할아버지의 오른쪽 네 번째 손가락은 뭉툭했다. 독립운동을 하던 열사가 죽음에 이르자 할머니는 주머니에서 손수건을 꺼내 눈자위를 꾹꾹 눌렀다. 이것은 재현일까, 신파일까, 감동일까.
나를 이룬 건 목숨을 건 독립운동과 민주화, 투표권 투쟁 때문이었다. 민족주의의 문제점을 아직 잘 모르면서 왠지 '민족'에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어르신들 틈에서 쉬는 날이 아니라 독립운동한 날인 3.1절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본 뉴스에선 보기 싫은 사람이 북한 보고 '네가 먼저 손 내밀면 나도 맘을 풀겠다'란 식의 연설을 했다. '그들만의 뉴스'는 여전히 지루했다.
* 박원순의 책에 나온 안덕 마을 찜질방을 다녀왔다. 계곡물 소리마저 적막할 정도로 한적한 마을이었다. 한증막에서 나와 g에게 예전에 금광이었던 곳을 가보자고 했다. 동굴 입구에서 발이 깨질 정도로 차가운 물에 겁을 내고 물러섰다. -이건 왠지 우리 둘이 어떤 일을 대할 때마다 겪는 감정의 은유 같았다.- 고온 한증막에서 발바닥을 익힌 다음 동굴로 뛰어갔다. 깊이가 얕은 동굴은 좀 묘했다. 오가는 사람 하나 없는 동굴에 앉았다. 동굴 이곳저곳에서 물이 똑똑 떨어졌다. 동굴 안은 바깥보다 따뜻했다. 동굴 안쪽에서 바라본 바깥은 아득한 저 너머처럼 느껴졌다.
밥벌이를 제대로 못하는게 콤플렉스였다. 내가 쓸모없는 인간처럼 느껴지는게 가장 큰 문제였다. 그동안 나에게 기회를 줬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문제는 꿈이 아니라 얼마나 악착같이 그것을 붙잡고 놓지 않는건가란 점이었다. 그리고 어쩌면 꿈보다 중요한건 어떻게 사느냐는건데 요즘처럼 권태와 의혹과 미련할 정도로 반복되는 짜증이 도처에 널려있을지 몰랐다. 많은 것들을 시도해보고 그 중에서 나랑 안 맞는건 지워나가면서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아야겠다.
나는 대충 이런 얘기를 했다. g도 나와 별반 다르지 않지만 그렇다고 같지도 않은 얘기를 해줬다. 우린 어쩌면 잘 알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확신과 불안감 사이에서 진동하다 나아가는 것만큼 제자리에서 맴돌 확률도 높다는걸. 그래서 내 곁엔 m이 그랬고 g가 그런 것처럼 오랜 친구들이 있어야 한다. 전에는 안 이랬다며 나는 점점 멍청해진다고 철푸덕 주저앉아 버릴 때 그전에도 그랬으며 그래도 전보다는 좀 나아진거라고 말해줄 친구들 말이다. 물론 한명은 달콤한 말로, 다른 한명은 뭉툭한 가시처럼 살짝 따끔한 말을 하겠지만.
* a는 빨래를 널다 옷걸이가 모자란다며 화를 냈다. 다른 이유는 꿀꺽 삼키고 옷걸이 얘기만 해서 깜빡 속을 뻔 했다. 다른 사람에게 화를 못내고 나에게 화를 내는 a에게 나도 같이 화를 냈다. 제정신인 연인이었다면 달래줬을텐데. 착한 a와 나는 전화로 싸우는 짓 따윈 하지 말자고 약속했다.
비교적 순탄한 사춘기를 보낸 a와 나는 요즘 30대 앓이 중이다. -이 말은 무척 낯간지럽다.- 우리 둘 다 뭘 해서 먹고사나만 생각했지, 그 후의 삶, 취미나 여가 정도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지에 대해선 생각해보지 않았다. 그렇지만 둘이 앓아서인지 아픈줄도 모르겠다.
쏙 들어맞는 옷처럼 편하고 따뜻한 a와 밤마다 두런두런 얘기를 나눈다. 전라도닷컴의 사투리를 구성지게 읽어주면 밤잠 없다는 a는 쌔근쌔근 잠을 잔다. 나는 그게 참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