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기 좋은 날]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책읽기 좋은 날 - 씨네21 이다혜 기자의 전망 없는 밤을 위한 명랑독서기
이다혜 지음 / 책읽는수요일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앉은 자리에서 시간가는 줄 모르고 책을 읽어 치운 후 감탄한다. 어쩜 이렇게 재미있을까? 이미 상당수는 잡지에서 읽었던 글인데도, 심지어 소개된 책까지 구해 읽었던 기억이 나는데도 어쩜 이렇게 새롭고 흥미진진하게 읽힐까

 

본래 서평집을 좋아하기는 한다. 책에 대한 정보를 얻기에 그만큼 효과적인 매체를 달리 찾지 못했기 때문에. 하지만 빼곡한 정보나 저자의 독서 내공, 박학다식함에 놀라는 경우는 많아도 서평집 자체의 매력에 빠졌던 기억은 참 드문 듯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서평집은 끝까지 한번에 읽지 못하고 중간쯤에는 꼭 거기서 소개된 다른 책으로 넘어가며 흐지부지 독서가 중단되기 일쑤다. 그런데 이 책은 소개되는 책들도 대부분 꼭 읽어보고 싶게 만들뿐더러 소개글 자체로도 충분히 즐거운 읽을거리가 된다. 가볍고 경쾌하지만 결코 허술하거나 시시하지 않다. 그 이유야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글 내용이 백번 공감되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저자가 책을 고르는 취향, 책을 읽은 감상과 소회, 책에 얽힌 사연 등 프롤로그부터 에필로그까지 책 전체에 전적으로 공감하는 매우 독특한 경험을 했다. 정말 취향 비슷한 오랜 친구와 만나 그간 읽었던 인상적인 책들과 주변 일들에 대해 몇 시간 동안 쉴 새 없이 수다를 떨며 서로간의 공감대를 다시금 확인한 기분이 든다. 특히 서평에 의당 들어가야 하는 내용을 골고루 챙기는 모범적-전형적인 서평들보다 이것저것 눈치 안보고 그냥 책을 읽은 후 가장 지배적인 인상, 느낌, 특징 등을 포착해 단숨에 솔직하게 써내려가는 글들이 정말 재미있다. (예를 들자면 <밀레니엄> 시리즈를 남자 주인공의 근자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글 등) 그런 점에서 저자가 강신주의 상담을 들으면서 느꼈다는아아, 가차없구나, 철학적인 인간이란!’(99)이란 말을아아, 가차없구나, 책 많이 읽는 인간이란!’으로 바꾸어 저자에게 고스란히 돌려주고 싶다.

 

어쨌든 앞으로 한동안은 이 책에 소개된 123권의 책을 한 권씩 찾아 읽어가는 독서를 이어갈 듯싶다. 다행히 장르도, 주제도 다양하니 꽤 괜찮은 독서 길잡이가 되어주리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