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락의 시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도시락의 시간 - 도시락으로 만나는 가슴 따뜻한 인생 이야기
아베 나오미.아베 사토루 지음, 이은정 옮김 / 인디고(글담)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아무리 출판사에서 공을 들여도 책소개만으로는 도저히 진가를 가늠할 수 없는 책이 있다. 내게 이 책은 그런 책이다. 주목신간을 정하려고 책소개를 살펴볼 때도, 신간평가단 도서로 선정된 후에도, 그래서 책이 배달된 후에도, 사실 그냥 시큰둥했다. 이런 류의 책들이 워낙 쏟아져 나오고, 이미 집에 있는 일본 가정식 책만도 4-5권쯤 되어서, 도시락이라고 뭐 새로울까 싶었다. 그런데 의외로 책을 펴자마자 빨려 들어가듯 읽기 시작해서, 매우 흡족하게, 풍요로워진 마음으로 마지막 책장을 덮을 수 있었다. 사진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도시락 얘기가 한 축이라면, 도시락을 둘러싼 다양한 삶의 이야기, 때로는 도시락과 무관한 사는 이야기가 적지 않은 비중으로 또 한 축을 이루고 있어, 생각보다 많은 이야깃거리가 담겨있었던 것이다. 그야말로 도시락을 통해 이웃의 소소한 삶을 들여다본다는 저자의 기획 의도가 충실히 반영된 결과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흔히 도시락하면 학창 시절의 추억에 그치는(이것도 이미 옛날 이야기가 됐지만) 우리 나라 사람들과 달리, 일본 사람들에게 도시락이 갖는 의미는 평생에 걸쳐 매우 다채롭게 전개되는 듯싶다. 그래서 도시락은 둘이서 먹는 거잖소. 싸주는 사람과 그걸 먹는 사람 둘이서 말이오. 만들어 주는 사람의 기분이 전해지기 때문에 늘 고맙게 생각해.’(99)라거나 먹는다는 것은 어릴 때부터 매일 축적되어 가는 일종의 수행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163) 같은 근사한 나름의 철학이 무심결에 배어나기도 한다. 또 도시락을 먹는 장소가 대부분 일터이니만큼, 다양한 직장 풍경과 인터뷰이가 그 일을 하게 된 계기, 일에 대한 애착 등이 자연스레 묻어나는 점도 흥미를 돋운다. 참 다양한 사람이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일을 하며, 점심 한끼 챙겨먹을 시간조차 확보하지 못해 틈틈이 도시락으로 때우고 있구나, 싶다가도, 그렇기 때문에 그만큼 도시락이 이들의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여러 도시락을 한곳에 놓고 보니, 본인이 싼 도시락과 다른 사람이 정성껏 싸준 도시락에서 은근한 차이가 엿보였고, 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사진마다 빼곡히 담겨있는 도시락 반찬 중에 매실장아찌와 계란말이가 거의 빠지지 않는 것도 흥미로웠다.

 

대략 40명의 이야기가 소개되지만, 그 중 제일 재미있었던 것은 역시 고양이가 남긴 참치로 김밥을 말아온다는 어떤 디자인학과교수의 스토리였다. 이분, 어딘지 척박해보이는 인상과 썰렁한 도시락 사진, 김밥을 우겨 넣는 식사 모습부터 범상치 않더니, 현재 연구 중이라는 문어 항아리 이야기에서 단연 빛을 발하신다. 과거 일본에는 방 한쪽에 문어를 잡을 때 사용하는 초벌구이 항아리가 장식되어 있었다는데, 이 항아리에는 구멍이 뚫려 있어 문어가 도망치려고 맘만 먹으면 언제든지 도망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고 한다. 잡히면 문어의 책임이 된다는 점에서 무척 공정하게 느껴진다며, 아마 문어도 적당한 곳에 몸을 숨기고 싶은 게 아니었을까라고 추측한다. 그리고 본인이 초대형 문어항아리를 만들어 그 안에 들어가봤는데 거기서 나오기 싫어하는 문어의 기분을 조금이나마 알 것 같더라는 말로 끝맺는데, 이 대목에서 문어항아리가 금시초문인 나조차도 어쩐지 바닷속의 블랙홀처럼 보인다는 그곳에 목숨을 걸고 머무는 문어의 기분을 조금은 이해할 것같은 느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