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뱅이언덕]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빌뱅이 언덕 - 권정생 산문집
권정생 지음 / 창비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몸을 좀먹는 암세포는 외부에서 침투한 병균이 아니다. 원래 우리 몸에 있던 세포 중에서 마땅히 늙어 죽어야 할 세포가 죽지 않으려고 기를 쓰며 주위 세포들의 섭생과 생존을 방해할 때 암세포로 변질된다. 결국 우리 몸을 유지하는 세포들은 다 죽고 욕심 많고 불필요한 암세포만 살아남는 게 우리를 죽이는 암이라는 병이다. 그런데 전 지구적 관점에서 보자면, 인간이야말로 암세포와 같은 존재라고 한다. 은유가 아니라 실제적 의미에서 그렇다. 인간이 더 배불리 먹고, 더 편리하게 살며, 더 오래 연명하기 위해 주변의 각종 동식물을 잡아먹고 생태계를 파괴시킨 결과, 지구상에 필요 이상의 인구만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가는 작금의 형국이 암이라는 질병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최근에 들었던 가장 인상적인 말이다. 그런데 같은 요지의 말이 이 책에서도 수없이 반복된다. 그리고 1990년대에 들어와 하루에 100종 이상의 생물이 멸종되고 있다는 통계까지 덧붙는다.

 

작가가 중시하는 것은 무엇보다 공생인 듯하다. 자연과 인간의 공생, 인간과 인간의 공생 등. 공생의 균형이 깨어지면 생태계는 파멸에 이른다.

 

인간의 생존 경쟁은 세상의 재물을 많이 차지한 부자들 때문에 일어난다. 부자가 없으면 가난한 자도 있을 수 없다. 강대국 때문에 약소국이 생기고 잡아먹기 때문에 잡혀 먹히는 것이다.” (240)

 

그렇기 때문에 모두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가난을 지켜야 한다고 작가는 강변한다. 가난만이 평화와 행복을 기약하고, 결국 함께 사는 하늘의 뜻이라고도 말한다. 가난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지구상의 생명체로서 지켜야 할 본분인 것이다. 그래서 작가는 이 본분에 어긋나는 모든 탐욕과 허세, 그리고 그것을 가능케 하는 사회의 온갖 무지와 허영에 대해 경종을 울린다.

 

전반적으로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지만, 극도로 가난하고 신산했던 작가의 개인사와 뒤얽혀 대단히 진솔하고 무게감있게 다가온다. 진심으로 현재와 같은 삶은 문제가 많다는 생각이 들고, 나 하나 살자고 사방에 끼치는 민폐를 가급적 최소화해야겠다는 결심이 수없이 든다. 그게 그나마 올바른 삶에 근접하는 자세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반성을 거듭하며 읽던 중 학원비가 한 달에 만원이나 된다는 작가의 탄식을 접하고는 화들짝 놀랐다. 대체 언제적 글이길래 싶어 집필년도를 확인해보니 1986년이다. 그제서야 작가의 선구적 혜안에 뒤늦게 감탄하고 만다. 지금 읽어도 전혀 낡지 않은 문제의식이다. 오히려 당시보다 문제가 훨씬 심각해져 글의 울림도 그만큼 커졌다고 봐야 할까. 한국을 대표하는 아동문학가라는 작가의 실천가적, 사상가적 면모가 돋보이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