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인종의 탄생 - 인종적 사유의 역사 우리 시대의 주변 횡단 총서 8
마이클 키벅 지음, 이효석 옮김 / 현암사 / 2016년 6월
평점 :
품절


세 가지 색상의 크레파스를 놓고 "모두 살색입니다." 라고 말하는 공익광고를 본 적이 있습니다. 한국인의 살 색이라고 인정되는 색만이 살색으로 명명되던 기존의 사회적 차별을 잘 보여주는 좋은 광고였습니다. 그 광고에서 당연하다는듯이 말하고 있는 전제 중 하나는, 살 색이 세 가지라는 것입니다. 만약 우리나라의 사람들에게 세 가지의 살색 크레파스 중 어느 것이 자신을 의미하는지 골라보라고 한다면, 아마 대부분은 흰색도, 검정색도 아닌 색의 크레파스를 고를 것입니다. 하지만 300년 전, 혹은 500년 전의 유럽 사람들에게 동아시아인들의 살색 크레파스를 골라보라고 한다면, 흰색 크레파스를 골랐을 것입니다.

마르코 폴로를 비롯한 수많은 탐험가들, 상인들, 대항해시대의 여러 초기 기록들은 동아시아 사람들을 백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유럽의 기록들, 그리고 과학자들이 말하는 동아시아 사람들의 피부색은 점점 변했습니다. 동아시아인들은 이제 황갈색 피부를 가진 사람이 되었다가, 갈색, 올리브색, 짙은 색, 흑색까지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누구도 부정하지 못하는 사실이 만들어졌습니다. 동아시아 사람의 피부색은 황색이란 개념입니다. 저자 마이클 키벅은 황인종이란 개념은 정말로 동아시아인들의 피부색이 황색이기 때문에 등장한 것이 아닌, 유럽인들의 인종차별적 경계짓기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합니다.

세계를 체계화하는 것에 관심이 있었던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린네를 비롯해 많은 과학자들은 동물이나 식물 뿐 아니라 인종의 구분에도 관심이 있었습니다. 인종을 구분짓는 과정에서 백색성, 흑색성이 등장했습니다. 백색성에는 서구의 지적, 문화적, 종교적 우월성의 상징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었습니다. 유럽 모험가들이 처음 만난 중국인과 오키나와 사람들을 백인으로 표현한 것은 그들의 물질적 풍요, 국력, 높은 수준의 세련된 문화를 반영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들에게 백색은 문명화될 수 있는 색, 기독교로 개종할 수 있는 색을 의미했습니다. 그러나 동아시아에 기독교를 전파하기 힘들어지고 자신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동아시아인의 피부색은 변화했습니다. 동아시아인들을 구별짓기 위해 수많은 색들이 등장했는데, 그 중 유럽인들에게 받아들여진 색은 황색, 그리고 몽고인종이라는 개념입니다. 마이너스와 블루멘바흐가 모든 동아시아인을 몽고인종으로 지칭함에 따라 동아시아인들은 백색 유럽인들과 구별되어졌습니다.

18세기와 19세기 다수의 동아시아인들이 서양으로 이민을 가면서 서구 사회와 충돌했고, 러일전쟁에서 서양국가인 러시아가 동양국가인 일본에게 패배했습니다. 이런 동양에서 불어오는 위협을 서구는 몽고, 황화란 이름으로 이해했습니다. 훈족의 왕 아틸라, 칭기즈칸, 티무르와 같은 동양에서 온 침략자들의 역사는 이런 유럽인들의 개념을 뒷받침해줬습니다. 동아시아인들은 다시 돌아온 침략자들이었고, 자신들과 다른 색이어야 했습니다. 동아시아인, 몽고인종은 백색이 아닌 흉물스럽고 추함의 보편적 상징으로 인지되었고, 몽고눈, 몽고반점, 몽고증(다운증후군) 등의 실체적 현상을 통해 이런 차별적 편견을 증명하고자 했습니다.

대상자가 '실제로' 황색이냐 아니냐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았다. 이렇게 많은 측정 사례의 초점은 결국 '다른' 인종들은 '정상' 인종과 정말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있었다. 물론 이 '정상' 인종이 인류학자 자신이 소속된 인종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 p.166


고고학의 최대 사기 사건 중 하나인 필트다운 사건도 이런 유럽인들의 욕망에서 비롯되었을지도 모릅니다. 동아시아와 아프리카는 태고의 백색 유럽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퇴화된 지역이며, 당연히 유럽에서 최초의 인간 화석이 나와야 했기 때문입니다. 백색성과 아름다움, 문명을 연결하려는 시도는 오늘날 혈액형 분류법처럼 아무 근거도 없는 사이비 과학이지만, 그것은 인종주의의 악독한 한 가지 형태로 이후 나치의 사상에 이어졌습니다. 다른 인종에 대한 차별적 편견이 색으로 구현화되고, 다른 피부색은 잠재적으로 위험하고 위협적인 인종이라는 개념은, 백인종, 흑인종 그리고 황인종이라는 도식화에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그리고 세 가지 색의 구분을 당연하듯이 받아들이며, 다른 피부색에 대한 두려움 혹은 공포심을 가지고 차별로 이어질 가능성은 우리 자신 역시 적다고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