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까지 읽었는데.. 여전히 재미있다..ㅋㅋㅋ

(내가 너무 어려진 듯 ㅋㅋ)

 

주인공 히로미의 과거와 현재모습

이등신의 모습..

 

한살때 모습

너무 너무 귀엽다 ㅋㅋ

 

대 여배우인 어머니의 고된 훈련 때문에 이등신이 되었다고 한다...

히로미가 원래 모습으로 되돌아왔다가 다시 이등신으로 되돌아가는 장면은 나중 권에 나올 것 같음 (그것도 너무 웃기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중고] 촘스키처럼 생각하는 법 - 말과 글을 단련하고 숫자, 언어, 미디어의 거짓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기술
노르망 바야르종 지음, 강주헌 옮김 / 갈라파고스 / 2010년 12월
평점 :


노암 촘스키의 책은 읽어 본 적이 없다. 사실 그의 책들은 검색 해본 적이 있는데 '붉은 여왕'에도 나왔던 '통사구조??-맞나??'라는 언어학 책들은 50년대 후반에 나왔었던 책이고 최근에 저술하신 책들을 보면 미디어 비판, 미국 비판?? 류의 책이 많다.
아무튼 나의 미천한 생각으로 그의 요지는 쉽게 넘어가지 말라는 거 같은데.. (그니깐 비판적으로 생각하라는 뜻) 아무튼 과학적, 논리적으로 생각해서 쉽게 넘어가지 말라는 거 같다...
이 책은 캐나다 교수가 쓴 책인데..쉽게 말해서 노암 촘스키가 어떤 식으로 생각하는 가를 쓴 책이다.
꼭 미디어가 아니더라도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말을 흐리거나, 모호한 표현을 쓰거나, 안맞는 단어를 쓴다.
그냥 귀찮아서 회피하고 싶어서 일수도 있고, 본격적으로 작정하고 남을 속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악의적이거나..선의적이거나...)
인간이 언어를 사용해서 남을 속이는 것을 '지성 (우리말로 번역하면)'이라고 한다는데...인간의 본능이라고 할 수 있을까?? 굳이 지능이라기 보단?? (그저 나의 생각임)
앞으로 노암 촘스키 책도 좀 읽어보고 그래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붉은 여왕 - 인간의 성과 진화에 숨겨진 비밀, 개정판
매트 리들리 지음, 김윤택 옮김, 최재천 감수 / 김영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년전에 닉 레인의 '미토콘드리아'책을 읽은 적이 있다.
다 읽지는 못했는데,  그  책 원제가 sex, human..어쩌고 이랬던 거 같은데...역시 성이 왜  존재하는가를 규명하는 내용이었던 것 같다.
내가 기억하기론 성이 존재하는 이유가 미토콘드리아가 세포에 공생 (그니깐 이것도 다른 개념의 기생 (???)) 하면서..남, 녀로 분리 됬다고 기억을 하는데....가물가물하다...
예로부터 남, 녀라는 두 성이 왜 따로 존재하는가는 많은 의문을 제기했다.
그저 자손을 번식하기 위한 목적..유전자를 번식하기 위한 목적이라면 처녀생식해서 자기랑 똑같은 유전자를 가진 후손을 여러벌 복사하면 되지 않겠냐....이런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왜 자기랑 성씨가 다른 남, 녀를 만나 결혼을 하고 유전자가 믹스된 아기를 낳는가..이 말이다.
그동안 많은 학자, 생태학자, 유전학자,..등등이 여러 이론을 제기 했는데..이 책의 저자 matt ridley는 남, 녀가 왜 존재하는가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성의 존재 이유는 반격하는 적과 싸우는 것이 전부이다" 그러니깐 여러 기생생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선 면역체계를 일부 자신과 변화해서 후손에게 물려줄 필요가 있는데, 그러기 위해 다른 이성과 유전자를 섞는다는 이야기다...
그러니깐 기생생물과 경쟁하기 위해 성을 분화시키고,,,
같은 종내에서도 경쟁하기 위해 두뇌 크기를 증가 시키고,,짝을 까다롭게 고른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자신의 성적매력을 증대시키고, 먹이를 더 많이 차지하기 위해 남을 속이고 속임수를 감지한다고 히였다. 그리고 남을 조종하고...(1978년에 리처드 도킨스와 존 크렙스는  본질적으로 동물들이 정보를 전달하기 보다는 서로를 조종하기 위해서 의사소통을 사용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지성 (? 영어로 뭔지는 모르겠음)을 사용한다고 한다..
뇌는 생식을 위한 사치품일 수 도 있지만,, 지성은 사치품이 아니라고 한다...
어쨋든 정말 주옥같은 내용이 많은 책이었다. (특히 후반부에)
다시 읽고 읽어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고] 바이러스 폭풍 - 치명적 신종, 변종 바이러스가 지배할 인류의 미래와 생존 전략
네이선 울프 지음, 강주헌 옮김 / 김영사 / 2013년 2월
평점 :


이 책은 유명한 미국 바이러스 전문가가 쓴 책이다.
최근의 메르스 공포도 있었고, 이번에 건국대 동물과학부 던가? 거기에서 급성 폐렴이 50명 (지금까지) 걸렸다던데, 아까 운동하다가 뉴스를 보니 AI가 너무 잦은 양계농장에는 지원금을 감축한다는 지역뉴스도 보고, 아무튼 바이러스와 인간은 밀접한 관계를 지닌 것이 분명하지만 ...
우리가 거의 도시에서 살다보니 야생동물 체내에 사는 바이러스를 접할 기회가 별로 없다.
바이러스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보면 좋을 것같다.
아무튼 이책의 저자가 '판데믹이라는 단어가 없어질 때까지'라는 표현을 쓰는 걸 보면...앞으로 변종바이러스 등이 창궐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하시는 것 같다.
앞으로 이런 책을 좀더 읽어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의 눈 - 빗소리가 어떻게 풍경을 보여주는가
올리버 색스 지음, 이민아 옮김 / 알마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이 책은 오래전에 사놓았는데.. 이번에서야 읽게 된 책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시각 장애를 겪는 사람들은 유명작가 등 유명인도 있다.
그 분들이 자신의 경험을 따로 서술한 책도 있는데..그 책도 나중에 읽어보고 싶다...
올리버 색스 박사도 70세경에 시신경 장애를 겪는데..
참 아이러니 한 것이 신경학박사인 그가 이런 장애를 말년에 겪었다.
흑색종이 시신경을 침범하고 제거술을 받는데..방사선 요법을 받지만 자꾸 부종이 생기고를 반복하여...
오른쪽 시야의 60퍼센트인가를 잃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때 경험이 너무 이상하고 묘해서 일기를 적어놨다...
어렸을 때부터 입체시에 관심이 많았고 레지던트를 신경학으로 택한 그가 이런 안구내 흑색종을 겪고, 결국 간으로 전이되어 작년엔가..돌아가셨다....
개인적으로 인간의 뇌에는 기본적 프로그래밍이 되서 세상에 나올때쯤 기본적 지식이 어느정도 형성이 되어있지나 않을까..이런 생각이 드는데.....
저번에 까페에서 커피를 마시며 독서를 하는데...앞쪽에 앉아있던 2살 정도 된 꼬마아이가 스마트폰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것을 보고..그런 생각이 잠시...
강아지도 동물가게에 있을 때 미래의 주인이 자기에게 다가오면 잘 보일려고 칸막이위로 앞발을 대고 꼬리를 흔든다...집으로 데려오면 주인의 다리 속에 파고 들려고 기어오르는 시늉을 한다..불과 2개월 된 동물이....
그걸보면 프로그래밍이 태어나기전부터 어느정도 되어있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드는데....
이 책의 어느 사례를 보면 선천적 맹인인 사람이 다가오는 사람의 채취, 목소리 등으로 파악할 수 있고...
더 놀라운 경우는 어렸을 때 맹인이 된 어느 작가는 누군가 다가오면 언제부터인가 그 사람이 입고 있는 옷, 이미지가 텔레비젼을 보듯이 그려진다는 것이다.
언젠가 눈을 감고 있어도 색종이를 만지면 종이의 느낌에 따라 색깔을 구분할 수 있는 초능력을 가진 여성의 사례를 본 적이 있는데....
그러고보면 감각이라는 것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 (?) 하는 면이 있는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5-11-01 14: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읽었습니다,
아자아자님, 편안한 일요일 보내세요^^

sojung 2015-11-02 01:09   좋아요 1 | URL
네 서니데이님도 행복하고 즐거운 월요일 맞이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