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지도의 탄생
오지 도시아키 지음, 송태욱 옮김 / 알마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지도라고 하면 실제 우리가 떠올리는 것들은 지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현실의 축소로 생각한다. 물론 그것은 움직이지 않는 사실이면 현재의 지도가 가지고 있는 의미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지도라고 하는 것은 어떻게 해서 만들어졌으면 어떤 방식으로 발전되었는가…? 나한테 물어보지마 - 라고 이야기 하고 싶어질 원초적이지만 결코 알기 쉬운 질문은 아니다. 이런 건 학교에서도 안 가르쳐주거니와 독자적으로 알아보기도 쉽지 않다. 지금 내가 열심히 탐독하고 있는 이 세계 지도의 탄생은 이러한 원초적인 물음에 대해 충실하게 답변해 주고 있다. 그 사실은 목차를 한번 둘러보기만 해도 일목요연하게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 경험세계의 내부를 그린 닌나지 소장의 현존 최고(最古)의 일본도
- 경험세계의 안팎 모두를 그린 현존 최고(最古)의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의 점토판 세계도
- 기독교 세계의 문명과 문화를 대표하는 헤리퍼드 세계지도
- 중세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근대를 선취한 이슬람 세계의 이드리시 세계지도
- 중국 왕권 사상을 바탕으로 한 세계관의 표현 고금화이구역총요도
- 불교의 세계관을 반영한 일본의 오천축도
- 지도가 갖추어야 할 요소를 모두 갖춘 지도의 걸작 칸티노 세계지도

<세계지도의 탄생>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지도는 위의 7개의 고지도들이며 그 지도들에 대해서 이 책은 굉장히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말하는 경험세계라고 하는 것은 오관(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으로 지각할 수 있는 세계를 지칭하며 경험세계의 내부라고 표현하고, 오관으로 지각할 수 없고 정보나 지식을 통해 알 수 있는 세계를 경험세계의 바깥이라고 이 책에서는 표현한다.

1장과 2장 쪽은 지도들의 “세계관에 기초해 세계를 이야기하고 그린다” 라고 하는 주제를 토대로 하여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고 있기 때문에 약간은 난해하기도 하고 힘든 내용이었다. 초기의 세계지도는 지도라기보다는 그 지도가 그려지는 당시의 세계관을 표현하는 그림에 가까웠다고 하는데 그랬기 때문에 나라나 종교 사상이 틀린 경우는 그 지도 또한 굉장히 틀린 방식으로 표현되어졌다고 한다. 1, 2장은 그런 이야기들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약간은 읽기 힘들었던 1, 2장을 지나니 칸티노 지도를 주제로 해서 실제 현재의 지도에 가장 가까운 지도의 걸작 칸티노 지도가 탄생하게 된 배경들과 칸티노 지도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한 3, 4장은 읽기도 쉬웠고 재미도 있었던 부분이었다. 전에 본 다른 지도 관련책에 비하면 참고가 될 사진들이 적고 상태도 그다지 좋지않아서 아쉬웠지만 책을 읽는데 문장도 어렵지 않게 써 놓았고 재미도 있었기 때문에 쉽게 읽어내려갔다. 조 어렵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앞쪽의 어려운 이론적인 부분들은 살짝 건너뛰고 3, 4장부터 읽어도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