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운몽도 - 그림으로 읽는 『구운몽』 ㅣ 키워드 한국문화 3
정병설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월
평점 :
첫 대면은 작고 아담하여 한 손에 딱 맞게 쥐어지는 판형에 혹~하고 간결하면서도 눈을 뗄 수 없게 만드는 여백의 미를 강조한 표지에 반했다. 그렇게 책과의 첫만남 이후 펼쳐 든 이 책은 내가 지금까지 별 생각을 하지 않고 넘어갔었던 구운몽 이라고 하는 조선시대 소설과 그 소설의 장면들을 그림으로 그린 구운몽도들에 대한 이목의 집중을 강요한다. 다만 그 강요가 새로운 사실을 알아갈 수 있는 기분 좋은 강요였다는 것.
사실 구운몽이라고 하는 소설은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마친 사람이라면 아마도 다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 책이다. 하지만 직접 책을 읽어본 사람은 극히 드물 것 같다. 나 또한 구운몽이 어떤 내용인지는 알고 있었으나 읽어보지는 못했고 그 알고 있는 내용이라는 것도 “세상 모든 부귀영화가 덧없는 것이다” 라는 내용을 담고 “참된 것을 찾기 위한 삶의 추구”를 이야기하고 있다… 라고 하는 시험에 나올 문제를 대비하기 위한 답만을 알고 있을 뿐이었다.
구운몽의 내용이야 그다지 어렵지 않다. 중국 당나라 때, 남악 형산 연화봉에 서역으로부터 불교를 전하러 온 육관 대사의 제자인 성진이 스승의 심부름으로 용왕에게 사례하러 갔다가 팔선녀를 만나 불문에 회의를 느끼고 속세의 부귀영화를 그리워하다가 팔선녀와 함께 인간세로 쫓겨나게 된다. 성진은 회남 수주현 양 처사의 아들 양소유로 태어나 뛰어난 재능으로 갖은 부귀영화를 누리고 인간으로 다시 태어난 팔선녀를 만나 2처6첩으로 삼아 지내던 중 나이가 들어 속세를 벗어나 야인으로 살다가 어느 생일잔치가 있은 날 문득 보인 역대 영웅들의 황폐한 무덤을 보고 인생의 무상함에 비회를 느껴 자신의 부인들과 함께 불교로 귀의할 것을 논의 하던 중 호승이 찾아와 문답을 하다가 지팡이로 난간을 두어번 두드리자 꿈에서 깨어나 자신의 조그만 암자에 있음을 알게 된다. 꿈속의 양소유에서 본래의 성진으로 돌아와 자신의 죄를 뉘우치고 육관대사의 가르침에 정진을 하게 되고 팔선녀 또한 불제자가 되어 보살의 대도(大道)를 얻어 극락 세계로 들어가게 된다… 라는 것이 줄거리 이다.
그러한 구운몽에 대해서 이 책은 다른 관점을 가지고 바라본다. 아래로는 일반 민초에서부터 위로는 왕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았던 구운몽이 그런 사상적이고 딱딱한 교훈만을 강조하기 위한 소설이었다면 그렇게까지 널리 사랑받을 수 있었을까…? 하는 사소한 의문 - 그 의문에서 구운몽을 바라본 저자는 구운몽의 소설 속 장면들을 그림을 그린 구운몽도들에 초점을 맞춰서 의미를 재해석하고 있다.
“이야기는 말로 그린 그림이요, 그림은 종이 위의 이야기이다. 이야기와 그림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 p.93
이 문장만큼 저자의 의도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문장은 없을 것 같다. 이런 취지 아래에서 이 책은 구운몽을 주제로 그려진 많은 그림들을 보여주고 그 그림에서 구운몽을 바라보는 조선시대의 사람들의 시선이나 생각을 짐작해보려 하고 있었다. 소설의 전체적인 흐름에 맞는 각양각색의 구운몽도에서 발견되는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하나씩 설명해주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고 흥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다. 게다가 그림과 함께 드러나는 시대적 배경들이나 역사적 사실들을 같이 설명하고 있었기 때문에 구운몽이 쓰여진 그 시대의 문화적 배경들을 엿볼 수 있는 재미도 있다.
이렇게 그림으로 읽는 구운몽은 당시 사람들에게 있어서 힘든 현실을 잠시나마 잊게 해주는 낭만적인 환타지였다. 나에게 어렵고 딱딱한 조선시대의 장편소설으로서만 생각되어지던 구운몽은 이 책을 통해서 흥미롭고 꼭 한번 여러모로 살펴서 꼼꼼하게 읽어보고 싶어진 책이 되었다. 그리고 어찌보면 오히려 신세대들에게 외국 문화들에 비해 관심을 덜 받고 있는 한국의 문화와 고소설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보고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해 줄 수 있는 그런 책이 되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