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의 별 1 - 나로 5907841 푸른숲 어린이 문학 18
이현 지음, 오승민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언가 철학적이고 어려운 이야기를 담은 소설은 아니다. 다만 SF 장르이고 그 주인공들이 모두 휴머노이드라는 특수성만을 가졌을 뿐… 그렇다고 해서 로봇에 대한 권리를 옹호하거나 여타의 많은 과학 소설들이 많이 다루었던 너무나도 돌출된 과학, 즉 윤리의식을 상실한 과학에 대한 이야기도 아니다. 내가 본 로봇의 별은 현재의 사회상을 로봇이라고 하는 존재들을 이용해서 고스란히 투영하고 있는 소설이었다.

로봇들이 보편화되어 일상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인 조금은 먼 듯한 미래. 하지만 그 전제조건에는 돈을 가진 권력 계층이어야만 가능하다는 전제가 붙는다. 알파인, 베타인, 감마인, 델타인의 네 계급이 존재하는 사회에서 알파와 베타인은 그나마 권력 계층이며 감마인은 일반인, 델타인은 최소한의 생존권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계급으로 표현되어 있다.

주인공인 나로는 휴머노이드 중에서도 최상급에 속하는 존재로 주인은 베타인 태경이다. 태경은 나로를 로봇이라 생각하지 않고 자신의 친자식처럼 애지중지하는 지극히 인간적인 사람으로 표현되어 있었으며 나로는 그러한 현실에 안주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로봇들의 반란이 일어난 시점에서 엄마인 태경과 함께 1년전 세상을 떠난 아빠의 무덤을 찾고자 여행에 나섰다가 혹독한 경험을 하게 된다.

로봇들의 반란 때문에 우주여행을 할 수 없는 나로가 로봇 보관소에 맡겨지고 일반 로봇들과 동일한 대우를 받은 것. 그냥 생각하기에는 일반적인 상황이지만 태경에게 친자식처럼 대우를 받으며 살아왔던 나로에게는 너무나도 충격적인 경험이었다. 최소한의 권리도 없고 그저 물건으로만 취급되어진 경험은 나로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고 현실에 안주하던 자신의 틀을 깨게 되는 계기가 된다.

자유를 찾아 나서게 되는 나로의 이야기가 책속에 펼쳐지지만 그 이면으로 로봇 뿐만이 아닌 사람들 또한 계급이라고 하는 것에 매여 인간답지 못하게 살아가는 상황들도 나로의 여행을 통해 볼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잘못 된 것은 로봇들에 대한 대우 뿐만이 아닌 나로가 처해 있는 현실의 사회 그 자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지금 내가, 우리가 처해 있는 상황을 돌아볼 수 있었다. 점점 커져만 가는 빈부격차, 희박해져 가고 있는 민주주의, 점점 오만해져만 가는 권력자들에 대한 경고성이 내 머리에서 울리는 것만 같다. 갈수록 점점 좋지 않은 방향으로만 치닫고 있는 지금의 현실에서 작가는 우리에게 나로나 아라, 네다와 같이 가시밭길을 걸을 수 있는 용기를 역설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