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기원 과학과 사회 9
베르나르 빅토리 외 지음, 이효숙 옮김 / 알마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언어의 기원… 과연 언어라고 하는 것은 어느 시기에 어떻게 해서 발생 된 것일까…? 내가 보기에 언어의 기원이라고 하는 것에 대한 물음을 답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현재에 주장되고 있는 여러 가지 학설들을 보아도 그것은 명확해지기는커녕 좀더 혼란이 가중될 뿐이다. 아니면 나의 지식이 짧아서 잘 이해를 못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겠지. 명쾌하게 결론을 지을 수 있는 그런 종류의 물음은 아니지만 누구나 한번쯤은 궁금해 했을 그런 물음이다. 왜냐하면 이렇게 글을 쓰고 있는 이 능력조차도 우리가 언어를 가졌기에 존재하는 서술 능력이기 때문이리라.

귀에 익지 않은 여러 단어들 – 예를 들어 분절 언어라든가 촘스키의 이론 등 – 이 난무하여 조금은 난해하기도 했던 내용이어서 조금은 읽는데 힘겨웠었던 것을 고백한다. 하지만 지금 내가 사용하고 있고 전 세계의 인간이라 하면 누구나 사용하고 있는 언어라고 하는 것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는 나에게 아주 흥미로운 이야기였기에 그러한 힘겨움을 무릅쓰고 끝까지 읽게된 책이었는데, 그저 인문학의 한 계열로만 생각이 되어지는 언어의 기원에 대하여 이 책은 굉장히 과학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주고 있었다.

편협하게 인간 중심적으로 이해하려 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자료들과 다른 동물들(특히 유인원과)의 관찰 결과들과 뇌에 대한 연구 등을 통해서 다른 동물들은 획득하지 못했던 “분절 언어”를 인간이 획득할 수 있었던 근거에 대하여 이야기해 주기에 아무래도 그저 이론에만 치중하여 설명하는 것들보다는 이해하기가 조금 더 쉬웠었다.

지금은 당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언어라고 하는 것이 어떻게 우리 인간에게 주어질 수 있었던 것인지에 대한 여러 명의 전문가들 – 그것도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가인 듯 보이는 여러 명 – 의 이야기들을 한 책에서 접해 볼 수 있는 책이었기에 굉장히 전문적인 지식을 다루었지만 약간의 관심과 노력, 그리고 언어의 기원이라고 하는 것에 대한 호기심과 어려운 문장을 읽을 수 있을 정도의 인내심 만으로도 흥미롭게 읽어내려갈 수 있는 그런 책이었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두어번의 독서 후에도 명확히 이 책에서 이야기 하고 있는 언어의 기원에 대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을 하거나 이해시키기에는 너무나도 부족했던 나의 이해력이 정말 아쉽다. 좀더 탐독해봐야 할 책이 나에게 하나 더 생겨버리고야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