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에 우리 집은
수잔 마리 스완슨 글, 베스 크롬스 그림, 정경임 옮김 / 지양어린이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책을 봤을 때의 느낌은 아주 특이하다라는 감정이었다. 생이 아주 다양한 다른 그림책들과는 달리 이 책의 그림들은 판화처럼 보이는 흑백의 그림에서 열쇠, 새, 태양, 빛 등만 황금빛을 갖는다. 그래서 그런지 분위기가 처음에는 우울해 보였었다.

집으로 들어가려면 열쇠가 있어야 해.
- 첫 페이지


첫 페이지에서 황금빛의 목걸이를 하고 있는 개와 함께 있는 아빠인 듯 보이는 어른이 아이에게 황금빛의 열쇠를 내민다. 왠지 상징적이어 보이는 저 열쇠는 나에게 열쇠가 없으면 다른 무언지 모를 것들은 절대 집으로 들어오지 못할 것이라고 말해 주는 것처럼 보였다.

밤은 왠지 무섭다. 무언가 정체모를 것이 불쑥 튀어나올 것만 같고 방에는 나 혼자만 있는 것 같아 무서웠던 어린 시절의 기억이 불현듯 나더라. 지금은 조금 나아졌지만 어렸을 때는 어두운 것이 무서워서 작은 불이 없으면…그리고 내 커다란 토끼 인형이 없으면 무서워서 잠을 이루지 못했던 기억이 새롭다.

어른이 되면 사람들은 참 많은 것들을 잊는다. 마치 개구리가 올챙이적 생각을 못한다는 속담이 사실이라는 듯이 자신의 어렸을 적 일들을 모두 잊어버리는 것이다. 밤이 얼마나 무서웠는지…무언지 모를 것들에 두려웠던 그 밤들을 잊은 어른들은 밤이 무서운 아이에게 그저 무섭지 않다고 밖에 설명하지 못한다. 그리고 아이는 두려움을 버리지 못한 채 잠자리에 들겠지.

이 책은 밤에 대해 아이에게 이야기 해준다. 집안에는 빛이 있고…그 빛은 달님의 빛, 달님은 해님에게서 받은 빛을 나누어 주는 것이다. 그림 책 속의 황금빛 새는 밤하늘의 어두움을 노래하고…그 어둠이라는 곳에는 달님과 총총한 별들이 있다.

열쇠가 없으면 어떤 것도 집에는 들어오지 못하고…방안에는 달님이 뿌리는 빛이 가득하다. 밤은 낮의 뒤편에 있는 것일 뿐 두려운 시간이 아니고 달님과 별님들의 시간이며 우리가 잠을 자는 시간이라는 것을 시적인 표현과 그림으로 이 책은 알려주고 있다.

시적인 표현도 마음에 들고 흑백 일색의 그림에서 빛을 의미하는 황금색이 여기저기에서 보이는 독특한 그림도 마음에 드는 동화책이었다. 밤의 어둠을 무서워하는 아이와 함께 읽으면서 그 두려움을 가시게 해줄 수 있을 아름다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