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착육아 - 자존감 높은 아이로 키우는
마사 시어스 외 지음, 노혜숙 옮김 / 푸른육아 / 200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것 저것 요새 참 육아 책이 많이도 나온다. 모두 보면 훈육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온다.
하지만 난 훈육이 정확하게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 수가 없다. 얼마 전 우리 공주님이 감기에 걸려서 소아과에 가니…지금 시기에는 아이가 잘못하면 못하도록 확실하게 알려주랜다.

어떻게 말인가…? 방법도 알려주면 좋으련만 그건 너무 큰 바램이겠지.

내가 가지고 있는 그 많은 육아 책들을 읽으면서 고민을 해봐도 답은 안 나온다. 그저 여러 가지의 상황에 대한 대처법 이라든가 그때에 맞는 행동 강령…등이 있는지라 내가 겪고 있는 상황이 항상 책에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면 난 정말 고민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 때 이 책이 눈에 띈 것이다. 표지에서 엄마가 아이를 안고 행복한 표정을 짓고 있고 아이 또한 행복한 표정으로 안겨 있는 것이 너무 인상에 남았다.

언젠가 누가 나에게 물었었다. 아이를 어떻게 키우고 싶느냐고…그 물음에 나는 예의 바르고 다른 사람을 사랑할 줄 알고 사랑 받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고 대답했었다.

하지만 그런 소원은 아직 요원하다. 주변에서는 내게 항상 결단력을 갖고 엄하게 아이를 대하라고 말한다. 아이에게 질질 끌려다니지 말라고도 이야기 한다. 하지만 정말 그게 옳을까 너무나도 많이 고민했었다.

이 책은 아이와의 애착을 가장 중요시 여긴다. 마음껏 안아주고 칭찬해주고 아이가 원하는 것을 잘 알아서 해주고 엄격하고 극단적인 육아법은피하라고 말해준다. 그 말들이 나는 너무나 고마웠다.

그간 내가 잘못 하는 것일까…하고 막연하게 생각하던 감정들을 털어버리고 지금은 열심히 아이에게 애정 표현을 자주 하고 안아주고 능력껏 열심히 놀아주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항상 모든 것을 수용하라고 하는 것만은 아니다. 경계는 필요하고 정말 안돼는 것은 ‘안돼’라고 말하라고 하며 그 ‘안돼’라고 말 하기 위한 기반이 애착관계이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아이들은 경계가 필요하다. 경계가 없으면 훌륭하게 자랄 수 없다(그리고 부모가 견뎌낼 수 없다). 아이들은 가족의 규칙을 알고 존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가정은 아이들이 처음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곳이다.
가정이라는 축소된 사회 속에서 배우는 것들은 학교생활과 직장생활, 결혼생활의 원형이 된다. 가정의 경계는 아이들의 사회적이고 창의적인 에너지를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해서 어른과 아이가 서로 협력하고 함께 즐겁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해준다.
p. 86~87


이 책을 한번 읽었다고 해서 모든 육아에 대한 궁금점들이 풀리는 것은 아니지만 살다보면 자꾸만 잊어버려지는 것이 사람이기에 내 가장 가까이에 이 책을 놓고 항상 참고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어서 집에 가서 우리 공주님에게 뽀뽀하고 안아주면서 사랑한다고 말해줘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