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라는 이름의 노동


우에노 지즈코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가사노동‘이란 개념의 발견은 사람들의 인식에 커다란 발상의 전환을 가져왔다. ‘가사=노동‘이란 개념의 성립은 사람들에게 "가사노동도 노동이다" 라는 인식을 심어 주었다. 이론에서 비롯된 개념이란 장치는 인식이라는 영역의 대전환을 초래했다. 본말이 바뀌어 세계가 새로운 모습으로 눈앞에 나타난다. 이론의 힘이란 그런 것이다. ‘가사노동‘이란 개념이 성립되어 유포되기 이전에는 가사가 ‘노동‘이라고 간주되지 않았다. 가사와 육아에 쫓기는 전업주부인 여성은 비록 ‘피곤한 나날을 보내고 있더라도 세 끼 밥먹고 낮잠 자는 신분이라고 야유당한다. "나는 아침부터 밤까지 생쥐처럼 부지런히 일하고 있어요."라고 이의를 제기하면 "당신이 하고 있는 것은 일 축에도 끼지 않습니다" 라고 일축당하기 일쑤였다. "가사는 일이 아니다" 라는 말을 듣게 되면 "그래요"라고 물러설 수밖에 없었던 것이 지금까지의 여성이었다.
그러나 ‘가사노동‘이란 개념은 여성에게 이론적인 무기를 제공했다. 가사노동은 비록 돈이 되지는 않더라도 노동임에는 틀림없고, 그것을 주부가 하지 않으면 누군가에게 대행시킬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유용하며 불가결한 노동인데도 여성에 대해서 아무런 법적·경제적 보상도 하지 않은 채 무권리 상태로 방치한다면 그것은 부당하게 보수를 지불하지는 ‘부불노동(unpaid labor)‘이 된다.
(중략)
‘사랑‘과 ‘모성‘이, 그것에 상징적인 가치를 부여하여 떠받드는 것을 통해서 여성의 노동을 착취해 온 이데올로기 장치였다는 사실은 페미니스트의 ‘모성 이데올로기‘ 비판을 통해 서서히 드러났다. ‘사랑‘이란 남편의 목적을 자신의 목적으로 삼아 여성의 에너지를 동원하기 위한 이데올로기 장치이고, ‘모성‘이란 아이들의 성장이 곧 자신의 행복이라고 간주하여 여성들에게 헌신과 자기 희생을 종용함으로써 여성이 자기 자신에 대한 요구를 억누를 수밖에 없도록 하기 위한 이데올로기 장치였다. 여성이 ‘사랑‘에 높은 가치를 두는 한 여성의 노동은 ‘가족의 이해‘나 ‘남편의 위로‘에 의해 쉽게 보답받는다. 여성은 ‘사랑‘을 공급하는 전문가이며, 이 관계는 일방적인 것이다. 미국의 사회학자 핀치와 그로브즈는 여자의 영역으로 여겨지는 ‘배려나 보살핌‘이 ‘사랑이란 이름의 노동(a labor of love)‘에 다름 아님을 정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여성이 집안에서 하고 있는 활동이 이떤 이데올로기적 수사로 표현된다 할지라도, 여성은 분명히 자신이 직접 하지 않으면 누군가에게 대행시킬 수밖에 없는 노동을 하고 있다. 주부는 단지 그것을 ‘사랑‘이란 이름 아래 하고 있는 것이다. - P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