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엄마에 대하여
한정현 외 지음 / 다산책방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이 책의 제목을 보았을 때 어떤 이야기가 들어있을까 궁금했다. 엄마에 대하여. 엄마라는 존재와 딸인 나의 존재. 단순한 줄 알았으나 한없이 복잡하고, 비슷한 줄 알았으나 끝없이 다른, 딸들과 엄마들의 관계, 연결과 그 사이의 괴리. 실려있는 모든 단편들에서 이 존재들 각각이 스스로를 세우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본다. 지금까지 보아왔던 것과 다른 엄마라는 존재를 본다. 그래서 좋았다. 사회가 엄마라는 존재에게 요구하는 틀에 박힌 정형성이 모든 엄마에게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건 착각 중의 착각이다. 거기에 나를 억지로 끼워맞추려 하지 않아도 된다. 그것들은 모두, 가짜다. 


한정현 [결혼식 멤버]

고정관념은 가라. 역사와 사회를 엮어서, 계층과 차별을 묶어서, 그렇게 하나하나 건드리는 게 좋았다. 당당해서 좋았다. 대체 누구에게 미안해해야 한단 말인가. '나와 결혼한다'는 말이 훅 다가왔다. 우뚝 서는 느낌. 그리고 슬퍼졌다. 내 결혼식에도 동생의 결혼식에도 올 수 없었던 나의 엄마가 떠올라서. 


*** 

"오, 굉장히 웃기는 남자들이군요. 신경 쓰지 마세요. 당신은 충분히 멋있어요, 누구하고도 사랑할 수 있을 만큼이요."
내 말에 여자분이 조금은 웃었습니다.
"놀라지 마세요, 두 분. 나, 사실은 내일 나랑 결혼해요! 김수현 드라마 보셨나요? 배종옥이 맡은 첫째 딸처럼 되고 싶어요. 내 할 말은 다 하고 사는 사람이요! 남자와 결혼하지 않고 사는 그 첫째 딸 말이에요!"
주인 할머니는 "아이고 그거 다 드라마지, 현실이냐 어디. 여자가 무슨 말이라도 할라치면 ‘너는 입만 다물면 완벽하다고 면박 주는 게 남자 놈들이다!" 그러면서도 "그래, 남자보단 너랑 결혼하는 게 낫다" 하시면서주말 연속극으로 채널을 맞춰주더군요. 그때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내가대중문화를 연구했던 것도, 그러니까 가령 내가 덩리쥔이나 김치켓 시스터즈, 모리타 도지 같은 사람을 좋아했던 것도 여성으로서의 당당한 모습에 마음이 끌린 게 아니었을까 하는 것 말이에요. 그런 생각 끝에는 그 여성분의 자신과의 결혼식을 진심으로 축하하는 마음이 담겼습니다. 그리고 그다음 날, 나는 펑리수를 결혼식 선물로 건네달라 하였어요. 마음으로는 항상 그 여자분의 결혼식 멤버이니까요..
이걸 왜 말해주고 싶었을까요. 글쎄. 나는 가끔 그런 생각을 합니다. 앞서도 말씀드렸습니다만, 국가와 가족은 참 비슷합니다. 한 명의 권력자와 그에 순응해야만 하는 피지배자. 그리고 그 구조에서 빠져나가려 하는 사람들이 겪는 따가운 시선과 불이익들과 같은 것 말이지요. 그런가 하면 국적과 결혼도 엇비슷하지요. 국적은 나를 증명하는 가장 명백한 방법이고 누군가에겐 결혼도 사랑을 증명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지만, 대만인이자 일본인이며 한국에서 오래 살았던 나의 간극을, 당신을 두고 떠나간 나의 어떤 마음을 절대 다 설명할 수는 없으니까요. 물론 이 말이 나를 이해해달란 말은 절대 아닙니다. 물론 웨딩 세리머니에 오지 않아도 당연히 좋습니다. 다만…… 나는 말이에요. 이 메일을 드디어 쓰기로 결심한 순간들엔 어쩌면 내가 이런 이야기들을 하고 싶은 게 아닐까 싶었어요. 뭐랄까요. 귀하와 내가 생물학적이 아니더라도, 국적이 아니더라도, 국가가 정한 가족 관계가 아니더라도… 무언가 끝없이 이어지고 반복되는 어떤 틈새에서 연결되고 있다고요. 이 메일은 결국 그래서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조우리 [그때도 지금도 우리는] 

동성애에 기겁하지 않는 엄마의 모습. 딸의 결정과 신념을 무시하지 않는 엄마의 모습. 그것은 결국 경험이 해낸 일이 아닐까. 더 많이 보고 더 많이 만나고 더 많이 느끼는, 경험. 그러나 걱정이 되지 않는 건 아니겠지. 어떤 자식이라 해도, 성적 성향과 상관없이 그 삶의 많은 부분과 전체가 걱정인 것은 나도 다르지 않다. 대범해지고 싶다. 



김이설 [긴 하루] 

유순 언니, 장씨랑 헤어져요. 언니 스스로와 결혼해요. 사람과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솔직함 아닐까요. 그 솔직함으로 소통하는 것 아닐까요. 소설 전체를 지배하는 것은 불안이다. 할머니-엄마-딸로 이어지는 기구함들. 불안과 외로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인물인 유순언니, 이 책에서 유일하게 아직은 홀로 서지 못하는 듯해 아쉬우면서도, 삶이 노동에 짓눌린다면, 하루하루 먹고 살기가 너무 어렵다면, 그 땐 나고 너고 없이 그저 노동에만 목매달게 되지 않나, 그럴 땐 어떡하나, 뭘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순 언니, 이제 그만 스스로와 결혼해요. 딸이 저를 갈아넣으며 살지 않기를 바라면서 자기는 왜 전부 갈아넣으며 살아요. 이제 그만. 



최정나 [놓친 여자] 

작가의 말처럼 '과했다'. 그러나 정말 과했을까. 부모의 관심과 사랑이 '제대로'이려면 얼마나 많은 노력이 필요한지. 세간의 시선을 아랑곳하지 않으려면 얼마나 큰 뚝심이 필요한지. 아이들의 '연애' 앞에서 부모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를 고민하는 요즘 가볍게 읽을 수만은 없었다. '놓친' 여자가 사라진 건 어떤 의미일까, 잘 모르겠다. 



한유주 [우리 만남은] 

소설의 마지막 문장을 훑으며 아 뭐야, 소리가 절로 나왔다. 열린 결말, 특히 아무것도 알려주지 않는 결말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소설 어디선가 읽은 것 같아. 



차현지 [핑거 세이프티] 

언제까지 엄마를 탓해야 할까. 엄마도 사람이고 힘들었고 모든 것을 견뎌야 했음을 알게 되었어도 원망하는 마음은 사라지지 않는다. 어쩔 수 있었을까? 어째서 '가정폭력'은 이처럼 흔한가. 남의 집 이야기가 내 이야기 같은가. 일부의 경우가 아니라 사회 전반에 비슷하게 일어난다면 그건 가정사가 아니라 사회문제라고 했지 않나. 이 '사회문제'를 어떻게 이야기하고 토론해야 하는지를 생각케 한다. 어떤 방식으로, 무엇을 보여주면서, 아 또야 같은 말이 나오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

"어떤 사건은 영영 쓰지 못할 것 같다. 내가 겪은 일이 아니었으면 좋겠다고 수천 번 빌었던 일들. 상태를 기록한다고 해서 증상이 해결될 일은 없을 터. 그리고 나는 그런 방식으로 소설을 쓰지 않는다. 쓴다고 해서 사건으로부터 벗어난 적도, 벗어날 수도 없다. 그래서일까.
나는 엄마에 대해 제대로 쓰지 못했다.
그건 축복이다."

(작가 노트 중에서) 

***


나도 엄마에 대해 제대로 쓰지 못할 것이다. 

그것은 축복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