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을 준비할 때 숙소와 식당을 알아보는 건 나다. 예약도 내가 한다. 짐도 내가 싼다. 도시락을 준비해야 하는 여행이면 그것도 내가 한다. ㅠㅠ 기타등등 기타등등. 옆지기는 지도를 탐색하고 GPS를 체크한다. 그리고? 음 또 뭘 더 했으려나? 집에 있는 어항 물고기 밥 미리 주기?

옆지기가 광주에 간다고 나더러 호텔 예약을 해달란다. 한국에는 흔치 않은 홀리데이인이 광주에 있는데 IHG 회원이라 포인트가 있다. 포인트로 예약하려니 안 된단다. 앱 있잖아? 있는데 돈 내라는데? 그렇다, 옆지기는 호텔 예약 앱도 사용해 본 적이 거의 없다. 순간 어휴 내가 해야지, 하다가 흠칫. 왜 내가? 앱을 띄워 검색해 본다. 포인트 예약 문제 없이 할 수 있다. 화면을 캡쳐해서 보내며 설명. 이번 한번이다, 속으로 중얼거렸다. 안 해봐서 모르는 거지 해보면 쉽다. (사실 이렇게 설명하는 것도 안 했어야 하는 건데. 찾아보면 할 수 있는 것을 또 설명하고 말았네. 친절도 하셔라. 이것이 반복되어 지금 이 지경 아닌가 말이다.) 

이렇게 얼렁뚱땅 내가 알아서 하는 일이 일상에서 얼마나 될런지 도대체가 가늠이 안 된다. 물론 옆지기가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바보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당연하지, 알아서 하는 일도 많다. 하지만 일단 자기가 하던 일이 아니고 '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면 거기에는 신경을 꺼버린다. 그게 여행에 있어서는 검색과 예약 등에 관련된 일이고 집에서는 '집안일'이라고 불리는 것들이다. 옆지기 입장에서는 반대로 내가 '바깥일'에 신경을 끄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럴 수도 있다. 다만 내가 옆지기와 다른 것은, '바깥일'과 관련된 서류나 예약 문제는 직접 하지 않지만 언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늘 신경을 쓰고 있다는 점이다.

별것 아닌 호텔 예약 하나에 정신이 번쩍 든다. 















사회학자들은 지난 수십 년간 아빠들의 육아 참여율이 느리게 변화하는 현상을 두고 평등을 이룬 결과로 오인해서는 안 되며, 그보다는 "대체로 성공적인 남자의 저항"의 결과로 이해해야 한다고 꼬집는다. 변화가 왜 그렇게 느린지 묻지 말고, 대신 왜 남자가 저항하는지 물어라. "한마디로 그렇게 해야 남자한테 이익이 되기 때문이다." 콜트레인은 이렇게 썼다. 그 저항은 "남성적 이상을 뒷받침하는 성별 영역 분리를 강화하고, 여자보다 남자에게 특권을 주는 성 질서를 영속화한다." 파기되어가는 계약을 유지하려는 특권 계층의 철야 농성이고, 오늘날 벌어지는 비도덕적이고 냉혹한 일이다. 결혼 생활에서 이 저항이 성공하려면 남자들도 여자들의 노동을 할 능력이 있다는 명백한 사실을 거부하면서 이를 철석같이 지켜나가야 한다. - P277

인류학자 새라 홀디는 이렇게 설명한다. "복종하는 역할에 오랫동안 사회화된 여자는 하나 이상의 관점, 즉 여자뿐 아니라 남자의 관점, 복종뿐 아니라 지배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는 경향이 더 많다. 그러나 가부장제의 특권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입장을 바꿔서 복종의 관점이나 여성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는 것이 별 쓸모 없을 때가 많다. (...) 도움과 별도의 노력 없이 자진해서 이런 시야를 갖는 남자는 거의 없다." - P288

나는 애써 다음 질문을 하지 않았다. 나 역시 남자와 함께 사는 여자니까. 무슨 말이 더 필요할까? 그레첸은 남편에게 닥친 어려움을 상상하고 그의 불편을 덜어주는 행동을 했다. 항상 이런 식이다. 이런 치킨 게임은 한쪽 방향으로 해결된다. 나도 항상 같은 게임을 하는데, 결국엔 부모(여기서 부모는 엄마를 뜻한다)들이 일상에서 흔히 마주치는 성가신 일을 남편에게서 덜어주는 쪽으로 탈출구를 찾는다. 결국 내가 감당해야 하는 일임을 행동을 통해 반복해서 주지시킨 셈이다. 남자의 특권 행사는 전적으로 남자만의 노력으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 P3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