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노벨문학상을 탄 작가라는 말에 혹해서 이 책을 주문했다.

그리고 한사람만 빼고 세상 사람들이 갑자기 아무 이유도 없이 눈이 멀어버린다는 설정

또한 무척 독특하고 기발했다.

이 책은 나의 순간적인 충동에 보답이라도 해주듯이 강렬한 인상으로 자리 잡았고,

자꾸만 생각하게 만든다.


혼자만 시력을 잃지 않은 의사의 아내는

눈이 멀기 전에도 이미 우리의 눈은 멀어 있었다고 말한다.

이 말은 우리가 곰곰이 짚어보아야 할 말이다. 볼 수 있는 눈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우리는 우리가 보고 싶은 것만 본다. 환경오염과 생활의 편리를 놓고 보면

우리는 늘 생활의 편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직함 보다는 그걸 버림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에 초점을 맞춘다.

인간이 인간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 걸까?

의사의 아내가 한 마지막 말도 잊혀지지 않았지만

이 책 안에서 또 하나 나의 눈길을 잡아 끈 말이 하나 있었다.

그건 눈이 멀어버린 작가가 등장인물들에게 하는 말이다. 자기다움을 잃지 말라고...


나는 어렸을 적부터 ~다움 이라는 말을 좋아했다.

아이다움, 어른다움, 부모다움, 자식다움, 선생님다움, 학생다움 등등...

모두들 자신의 자리에서 자기다움을 지키며 살아간다면 세상의 혼란과 어둠은 없어질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다움을 좋아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나는 그 말을 완전히 잊고 지냈다.

그러다 이 책 속에서 눈 먼 작가가 하는 말을 듣고는 그 말을 생각해냈다.

어쩜 이 눈 먼 작가와 나의 예전 마음이 통했는지도 모르겠다.


갑자기 시력을 잃은 사람들은 공포와 불안으로 세상을 어지럽히고 있었다.

그토록 혼란스러운 세상에 자신을 묻어서 목숨을 유지하기에만 급급한 사람들은

하루를 이어갈 수는 있겠지만 그 이상 의미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눈 먼 작가의 조언대로 자기다움을 유지하고, 자신의 존엄성을 회복하려

노력한다면 그 혼란 속에서도 인간다울 수 있지 않을까?

인간답다는 게 무엇일까? 사실은 그냥 눈먼 무리들과 똑같이 굴어도 상관은 없다.

똑같이 군다고 먼저 죽는 것도 아니고, 겉으로는 아무 지장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산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지...

의미를 찾는 것 또한 부질없어 보이지만 그런 부질없는 짓들을 하는 게 인간이라는 사실...


이 책은 내가 감히 상상할 수 없는 것들을 쏟아내고 있었다.

그 묘사는 너무나 철저해서 책을 읽다 고개를 들면 한껏 우울해져 잠시 착각이 들기도 했다.

출근을 하면서 책을 읽고, 일하는 중간에... 화장실을 가서 나도 모르게 중얼거렸다.

이런 깨끗한 화장실에 있다는 게 얼마나 다행이야?” 

문득 이 책은 당연히 주어진 것들에게 감사함을 가르치고 있구나 했다.

당연히 존재하는 물과 공기와 먹을 것과 가족과 등등...

작가는 인간의 간사함, 잃어버리고 나서야 후회하는 습성을 눈치 채고

이 책을 쓴 게 아닐까? 간접적으로나마 느껴보라고 말이다.

이 책은 사실 그렇게 유쾌한 책은 아니다. 오히려 지독히 불편한 책이다.

그럼에도 무척 흥미롭고, 한순간도 놓치고 싶지 않을 만큼 강한 흡인력으로 나를 붙잡았다. 


작가는 인간의 이기심과 함께 희망도 이야기한다. 그 희망은 우리 안에 있다.

스스로를 어떻게 다스리냐에 따라 인간은 변화할 수 있고,

인간이 변화하면 인간들이 움직이는 이 세상도 변한다.

그렇게 변할 수 있는 것이 우리의 희망... 이리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