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마법을 쓴다
프리츠 라이버 지음, 송경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1943년에 발표된 소설로 대학교수인 노먼이란 주인공이 아내 탠시가 마법을 쓴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지금도 그렇겠지만 자신의 아내가 마법을 쓴다면 얼마나 황당할까?

노먼은 탠시에게 마법을 그만두라고 하고, 노먼의 앞날을 위해 마법을 써온 탠시는 노먼의 강요로 마법을 멈추게 된다. 그러나 그동안 노먼을 보호해준 탠시의 마법이 사라지자, 노먼에게는 불길한 일들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그건 탠시와 마찬가지로 대학 내에서 자신의 남편을 최고로 만들기 위한 교수부인들의 마법 때문이다. 결국 탠시는 그들에게 영혼을 빼앗기고, 노먼은 탠시를 대신해 마법을 쓰게 된다.

이 소설은 재미도 있지만 다분히 철학적인 부분도 있다. 그래서 처음에는 쉽게 진도가 나가질 않았다. 그냥 다른 쉬운 소설들처럼 노먼이 탠시의 마법세계를 얼른 인정하고, 재미난 사건들이 일어나기를 기대했지만, 노먼은 끝까지 마법과 과학 사이에서 고민하고, 혼란스러워했다. 하지만 탠시가 영혼을 빼앗기는 장면에서부터는 눈을 뗄 수 없게끔 집중하게 만드는 힘이 있었다.
『마법은 우스꽝스러운 중세의 도구를 가지고 노는 것도 아니고, 손으로 하는 손쉬운 속임수도 아닌, 오직 상징만을 조작해서 ‘소환된 힘’을 조종하는, 매우 힘들고 긴장된 싸움이었다. 방의 벽 밖에서, 두개골의 벽 밖에서, 마음에 있는 무형의 에너지 벽 바깥에서, 그는 그 힘이 모이고 부풀어 오르고 무시무시한 기대에 차서 그가 실수하기를 기다리는 것을 느꼈다. 잘못되면 그를 눌러 부숴버리려고 하면서.』
이 구절을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내가 상상하는 마법은 고작..손으로 하는 손쉬운 속임수가 아니였을까? 하지만 작가는 마법을 단순한 흥미로 다루지 않는다. 그래서 좀 독특한 소설이란 생각이 든다. 그리고 대학내 권력에 대한 암투나 주변 사람들을 통한 날카로운 시선도 소설을 다소 가볍지 않게 이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여인천하”드라마가 생각났다. 자신의 남편과 아들에게 권력을 쥐게 하기 위해 여자들이 암투를 하는 그 드라마. 이 소설은 대학이란 공간에서 대학교수인 남편을 좀 더 높은 자리로 올리기 위해 여자들이 마법으로 암투를 벌인다. 그래서 조금은 빈정이 상했다. 내가 탠시라면 나를 위해 마법을 쓰고, 내가 성공할 거 같았다. 하지만 이 소설이 쓰여진 시대를 생각하며 여자들의 사회생활은 흔치 않았고, 내조를 잘하는 게 여자에겐 최고가 아니였나 싶다. 번역가는 옮긴이의 말에서 나처럼 빈정 상하지 말고, 오히려 남자들의 힘을 키워주는 게 여자라는 의미로 해석하라고 했는데... 난 그렇게는 잘 이해되진 않는다. 하지만 소설이 쓰여진 시대나 여자란 습성을 생각해보면 조금 이해되기도 한다.

『여자들이 마녀면 안될 이유가 뭐야? 여자들은 직관주의자, 전통주의자, 비합리주의자들이야. 여자들은 애초부터 미신적이었어.』
여자가 남자들에 비해 이런 부분이 있음을 인정한다. 작가는 여자들의 이런 습성을 보고, 여자를 마녀로 만드는 상상을 펼치지 않았을까 싶다.

아래 두 구절은 내가 맘에 들어 줄을 쳐놓았다. 사소한 감정이 커다란 감정을 능가한단 말은 참 와닿는 말이다. 그리고 그림자 이야기는..어느날 문득 나 또는 누군가의 그림자를 보면 떠오를 말인 거 같다. 나는 SF, 환타지 이런 류의 소설을 즐겨 보지 않기 때문에 이 책은 내게 참 색다른 맛이였다. 맛있었다.

- 모두 아주 사소한 일이야. 하지만 사소한 감정들이 커다란 감정을 능가할 수도 있어. 인간의 정신에는 사소한 크기가 더 잘 맞거든.

- 원시 신앙에 따르면 당신이 비친 그림자는 당신의 영혼이거나 영혼의 운반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