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먹는 인간 - 식(食)과 생(生)의 숭고함에 관하여
헨미 요 지음, 박성민 옮김 / 메멘토 / 2017년 3월
평점 :
굶주리며 죽음을 기다리는 상황이라니! 앞부분에 실린 소말리아 소녀의 사진에 대한 설명이다. 한 끼를 굶어도 속 쓰림이 못내 괴로워 신경이 날카로워지건만. 소녀의 얼굴과 사진 밑에 있는 작은 글씨를 번갈아 바라본다. 감히 상상할 수도, 공감조차 할 수 없는 먹먹함에 답답함이 밀려왔다. 그날 저녁은 함부로 먹을 수가 없었다. 생생하게 떠오른 사진 한 장에 밥알이 까슬까슬했다. 넘기다 사례 들러 켁켁 거리기도 했다. ‘먹는 인간’을 읽었는데, 제대로 ‘먹지 못하는 인간’이 되었다.
차례를 훑어볼 때까지만 해도 상상하지 못했다.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한국이라는 소제목만 언뜻 보고 내용을 엉뚱하게 재단해버렸다. 세상의 다양한 음식들을 소개하는 책이구나, 독특한 음식을 소개받으면 혹시 여행갈 일이 있을 때 한 번 먹어보자. 이렇게 가벼운 마음으로 집어든 책이었는데.
표지를 보고 의아한 마음이 들기는 했다. ‘먹는’인간에 대한 책인데, 세상에는 화려하고 다양한 먹거리가 넘쳐나는데 왜 잿빛 숟가락 하나만 덩그러니 그렸을까. 더 컬러풀하고 입맛 당기는 먹거리가 떠억 하니 표지에 등장해야 맞지 않나. 책을 다 읽고서야 표지가 의미하는 것이 무언지 어렴풋이 알 수 있었다. 숟가락 하나가 상징하는 것은 수많은 삶 속에서 묵직하게 매달려있었다. 그 무게는 생각보다 징하게 나를 잡아당겼다.
언젠가부터 습관적으로 먹어왔고, 곁에 먹을 것이 있다는 것은 주변의 풍경처럼 당연한 일이었다. 생각해본 적이 없다. ‘사람들은 지금 어디서 무엇을 어떤 얼굴로 먹고 있을까(p21)’잊고 있었다. ‘먹는’인간보다 ‘먹지 못하는’인간이 더욱 많다는 사실을. 메뉴의 선택지를 고르는 5지선다보다 먹느냐 먹지 못하느냐를 선택 당하는 O, X 문제가 훨씬 많이 존재하는 세상이라는 것을.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아프리카로, 러시아를 지나 한국에 이르기까지 쭉 펼쳐지던 ‘식(食)’의 이야기는 음식이라는 포장지 안에 둘러싸인 삶이었고 사람이었다.
먹다 남은 음식을 파는 나라, 사람이 먹는 음식이 짐승이 먹는 먹이와 다를 바 없는 나라, 인육을 먹던 군인, 고양이를 위해 통조림을 만드는 노동자. 방글라데시, 필리핀, 타이, 베트남 등 가난한 아시아의 음식 이야기 앞에서 사람과 동물의 경계는 모호해진다.
콜라를 마시며 해맑게 미소 짓던 북극곰이 다큐멘터리에서 지상 최대의 포식자로 등극하며 반달무늬물범을 잡아 두개골을 이빨로 뽀개는 장면에 전율이 일던 기억이 생생하다. 먹는다는 것은 생존과 직결되므로 결코 나쁘다고 할 수 없는 먹이사슬의 장면이다. 생태계는 냉정하다. 차별의 실마리가 되는 행위(p118), 음식을 먹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어 꾸역꾸역 위장을 채우는 상황. 독일, 폴란드,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오스트리아 등 갈등하는 유럽의 이야기에서는 전쟁을 배경으로 인간의 먹는 행위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고찰한다. 생태계 이상으로 냉정한 인간계에 화가 난다. 인류가 직면한 식량 문제는 먹거리의 총량이 아니라 적절한 분배의 불균형에서 오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아닌 데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리는 현실에 속이 상했다.
아프리카는 뜨거웠다. ‘먹지 못함’이 공기를 호흡하듯 자연스러운 나라, 달리 먹일 게 없어 위험한 것을 알면서도 먹일 수밖에 없는 모유는 에이즈를 수직감염 시키는 원인이다.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우간다의 음식 이야기 앞에서 인류의 기원이 시작되었다는 아프리카를 상상하며 한동안 허탈했다. <여기에는 아무도 없는 것만 같아요>(박노해, 2007)라는 책의 제목처럼 그들 주변에는 아무도 없는 듯 고요하다. <세계를 보는 새로운 책 W>(MBC W제작팀, 2008)에서 가장 충격적이던 아이티 공화국의 이야기가 떠오른다. 먹을 것이 없어 진흙으로 구운 쿠키를 저렴한 가격으로 사먹는 사람들. 땅속에 있던 기생충에 감염된 아이의 사진을 보고 눈물을 흘렸던 기억이 있다.
하루하루를 힘겹게 꿰매고 있는 사람들, 방사능 수치가 현저하게 높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달리 갈 곳이 없어 다시 돌아와 그 땅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로 이어지는 음식 이야기는 아슬아슬하게 줄타기를 하는 생명들을 담고 있다.
한국이 등장한 것은 의외였다. 외국인들에게서 흔히 언급되는 불고기나 김치, 비빔밥 이야기가 아니라 청학동, 재일 한국인 3세인 2군 투수, 위안부 할머니들에게서 음식이야기를 끌어낸 저자를 보고 많은 생각을 한다. 일본인이 관심을 가지는 문제에 같은 국민으로서 무덤덤하게 살아왔다는 사실이 부끄럽다.
‘가는 곳마다 먹는 인간이 있고, 지금 그 음식을 먹는 데는 넘치도록 충분한 이유가 있으며, 먹는 것과 먹지 못하는 것을 둘러싸고 알려지지 않은 드라마가 펼쳐진다.(p346, 맺음말)’, ‘국가 단위로 사물을 생각하면 안 된다.(p348~349, 문고판 맺음말)’, ‘보이지 않는 모습을 보아라. 들리지 않는 소리를 들어라.(p352, 문고판 맺음말)’ 감동적인 다큐멘터리의 엔딩 크레디트에서 정점을 찍는 장면처럼, 이 책에 적힌 여러 이야기들 중에서 저자의 맺음말이 가장 좋았다. ‘마이크로의 슬픔(p353)’을 보는 섬세함과 낮고 어두운 곳을 바라보는 시선에 숙연해졌다.
후쿠시마의 원전 사고를 보도한 언론을 향해 영화감독이자 작가인 기타노 다케시가 했다는 외침은 정신을 번쩍 들게 한다. “이것은 2만 명이 죽은 하나의 사건이 아니다. 한 사람이 죽은 2만 개의 사건이다.”(p362) 제대로 먹지 못하고 굶어죽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너무 많았다. 8억 가까이 된다는 생명을, 8억 개의 삶들을 상상하는 순간 무심코 흘린 밥풀조차 조심스러웠다.
영화 <굿모닝 베트남>에서 가장 인상 깊던 장면은 ‘What a wonderful world’라는 루이 암스트롱의 노래가 흘러나오던 순간이다. 이토록 아름다운 세상이라는 노랫말은 전쟁으로 황폐해지고 스러진 수많은 죽음들을 더욱 선명하게 각인시켰다. 15억 명이 비만인 인간들과 충분한 식량을 얻지 못하는 8억 명의 인간들이 공존하는 세상. 아이러니와 같은 사실을 되뇌며 영화 속 한 장면과 겹쳐지는 기시감을 느꼈다. 한 번뿐인 삶을 간절하게 붙들고 있는 생명들이 존재하는 세상 안에서는 커피 한 잔을 편안히 마시는 시간조차 미안해지는 일이었다.
*p245 : 혼돈의맛→혼돈의 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