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귀한 일상 - 일상에서 발견하는 생명과 존재의 아름다움
김혜련 지음 / 서울셀렉션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꾸루룩 일곱 번째 신호를 잠재우고 왔다. 어제부터 이어진 설사를 유발한 범인은 바로 이 자리에 있다. 손에서 놓지 못할 정도로 몰입한 책 앞에서, 유기농 밥상 같은 글 앞에서, 먹는 거에 진심인 작가의 문장 앞에서 예의를 차리지 못한 나를 반성한다. 어제 종일 먹은걸 고백한다. 우유에 넣은 시리얼, 우유에 탄 마죽, 냉동실에 있던 식빵, 생강차, 라면 끝에 마우스만큼의 밥. 불과 지난 주 만해도 유기농 상추, 된장찌개, 두부, 나물과 밥을 먹던 위염 인간이! 초심을 잃었던 거다. 이렇게 즉각적으로 반응이 올 줄이야. 몸은 어제 내가 한 일을 알고 있었다. 그렇다고 즉각 응징을 내리는 이 가차 없음이라니!

짬뽕 한 그릇을 시키면 국물까지 클리어 하던 나의 위가 이 지경이 되기까지 얼마나 자주 신호를 보내왔을까. 정작 중요한 몸은 돌보지 않고 바쁘게 움직이기만 했다. 나는 그동안 무엇을 보고 있었던가. 25년이 넘어가도록 몸은 계속 그만 좀 움직이라고, 제발 건강한 음식을 달라며 말을 걸고 있었던 것을.

우리 몸 안에는 얼마나 많은 조직과 기관들이 긴밀하게 움직이는가.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체계적인 움직임의 결과물이 합쳐져 생명을 유지한다는 건 그래, 기적이라 부를 수 있으리라. 한때 정신세계만 가치 있고 경이로운 대상이라 생각했다. 꽤 많은 시간동안 몸은 다만 거들 뿐이라 여겼다. 이제는 세월이 흐를수록 몸의 매력에 빠지는 중이다. 몸처럼 정직하고 즉각적인 실체가 있을까. 생각이나 행동의 결과물이 표현되는 데 조금의 망설임도 없으니 당혹스러우리만큼 투명한 대상이다.

 

고귀한 일상은 몸과 일상 속에 숨어있는 보물을 찾게 해주는 지도와 같은 책이다. 작은 일기를 연상시키는 작가의 이야기와 촌철살인의 시 산문을 통해 나의 몸과 일상과 주변을 돌아본다.

가만히 누워 나를 본다, 일상의 품 안에 고요히 앉아, 세상을 향해 걷다 보면, 멈춰 서 깨닫는 것들, 생명의 몸짓으로 날다.’등 다섯 장으로 구성된 목차를 보니 작가가 보인다. 누웠다, 앉았다, 걷다, 멈췄다, 날아간다. 가만히, 고요히, 멈췄다, 어느 순간 날아간다. 그 어느 부분에도 숨이 끝까지 차오르는 달리기가 없다. 느릿느릿 흘러가는 문장들이 나는 좋았다. 마음속에 꽉 차 있던 잡념이나 욕심들이 하나 둘 사라지는 듯했다. 하나씩 비우다 가뿐한 새처럼 날아오를 수도 있을 것만 같았다.

작가의 시선을 따라 어르신들에게, 24시간 편의점 청년에게, 청소 노동하시는 분들을 덩달아 바라보았다. 빠르게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들을 기다려주고픈 마음도 생겼다. 세상을 조금 더 따뜻하게 품을 수 있었다.

중간 중간 삽입된 사진들이 흑백이어서 더욱 마음에 들었다. 오롯이 채도에 집중하며 고요의 이미지를 연상했다. 컬러였으면 백일홍이나 꽃 그림 작품이 더욱 멋스러울 수도 있었겠지만 책의 내용과 어울리는 건 역시 무채색이었다.

 

윤지온과 남영주의 노래 <느린 걸음>(작사: 이하진)을 듣고 있다. ‘인생은 마치 끊임없이 이어지는 여행길이라 힘이 들면 쉬어가도 된다고♪ ~ 느린 걸음이라도 그 속을 걷는 사람들 중 하나 유일한 네 이름 그 마음 소중히 안아 지켜주길 바래’ 느리게 지나는 음악을 따라 나의 하루가 천천히 흘러갔다. 음악과 함께 거실에 앉아 연필로 책 속의 문장을 적었다. 간혹 주변의 소리가 느슨해질 때면 연필이 슥슥 종이 위를 걸어가는 소리가 들렸다. 가볍게 낙엽을 스치는 발걸음인 듯 스륵 스륵 슥슥 소리가 그렇게 좋을 수가 없었다. 그녀의 문장을 따라가다 보니 평소 들리지 않던 소리가 들렸다. 의미 없이 흘려보내던 소리를 내 마음이 붙들고 있었다.

작가의 문장이 지나가면서 잊고 있던 기억들이 조각조각 깨어났다. 오래전에 묻어두었던 작은 고요가 사각거렸다. 별거 아닌데 기억이 선명한 흰 눈의 고요이다. 중학교 2학년 때 일이다. 새해 첫 날에 맨 처음 말한 사람과 오랜 인연이 이어진다는 근거 없는 속설을 믿었던 나는 아침 일찍 눈뜨자마자 입을 다물고 집을 나섰다. 친구가 좋았던 시절이다. 방학 전에 한 약속이지만 친구도 기억하리라 믿었다. 미리 약속한 장소로 걸어갔다. 용필이 오빠를 좋아했던 그 친구를 3시간가량 기다렸다. 그 때 느꼈던 고요가 지금도 생각난다. 눈이 조금 왔던 날, 사람 한 명 다니지 않는 이른 아침의 하얀 침묵이었다. 고요가 잔잔한 풍경화가 되어 들숨으로 스며들어오는 동안 나의 날숨에는 화나는 마음조차 묻어나오지 않았다.

 

나에게 하루는 어떤 의미였던가. 알라딘 서재에 기록한 하루들을 찾아보았다.

점 같던 하루 / 선 같던 하루 / 복사하고 싶던 하루 / 취소선 긋고 싶던 하루 / 23.5도 기울어진 하루 / 밑줄 긋고 싶던 하루 / 암호 설정하고 싶던 하루//

길이도 다르고 / 깊이도 다르고 / 색깔도 다르고 / 감촉도 다른데//

12시만 되면 / 같은 시간이 그려진 마차를 타고 / 달아나버리는 신데렐라

......<하루> (2018.2.)

터벅터벅 사막같은 / 오늘을 건넜다 / 어떻게든 지나가리라 / 하루 정도는//

아득한 건 무수한 / 오늘 또 오늘 / 아직 오지 않은 오늘 / 오늘과 비슷할 오늘 / 오늘의 중첩이다//

까마득한 오늘들을 / 건너갈 수 있을까 / 따끔거리는 맨발을 / 견뎌낼 수 있을까

......<오늘> (2020. 6.)

내가 보낸 많은 하루는 불안했고 서러운 빛을 띠었다. 이런 하루들을 품고 있던 내게 작가의 책은 따스한 밥으로 다가왔다. 그녀의 전작 밥 하는 시간만큼이나 좋았다.

 

나이 들어가면서 두려워지는 사실이 있었다. 나이가 들면 뭐하며 살지? 다른 이들에게는 책을 읽고 글을 쓰는 삶을 살고 싶다 했지만 간혹 하루하루가 까마득하게 느껴질 때가 있었다. 정말 그렇게 살 수 있을까. 자신 있게 말하기 어려웠다. 길가에 하릴없이 앉아계신 머리 하얀 어르신들을 볼 때마다 미래의 어느 시점에 내가 저런 모습일 까봐. 매일 먹는 밥알 하나하나가 날마다 다가오는 하루와 닮았다고 생각했다. 내면에서는 두려움이 컸던 것 같다. 밥알처럼 다가올 밋밋한 하루들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을까 하고.

밥을 이루는 녹말은 아무 맛도 나지 않지만 밥을 씹으면 단맛이 난다. 녹말이 침 속의 아밀레이스에 의해 분해되어 엿당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밥의 단맛을 알려면 입 안에 넣고 오랫동안 꼭꼭 씹으면 된다. 작가의 책은 밥알 하나의 맛을 알려주었다. 나의 하루를 고귀한 대상으로 만들어 일상에 대한 두려움을 걷어가 주었다.

200쪽의 마지막에 적은 시 <두려운 질문> 앞에서 한참을 서성였다. 작가는 스스로 물었다. ‘내 꺾인 자리 / 그 상처에서는 / 어떤 향기가 날까?’ 나는 그녀의 글에서 갓 지은 밥 냄새를 맡았다. 따뜻한 구수함으로 마음의 허기를 메워줄 수 있는 향기 말이다. 같은 질문을 스스로 던져본다. 나의 상처에서는 어떤 향기가 날까. 아직은 모르겠다. 완전히 드러내지 못한 상처를 차츰 꺼내다보면 맡아볼 수 있으리라. 그리고 천천히 오래 정성껏 씹어 단맛 나는 특별한 일상을 살아간다면 이 글을 읽는 당신도 나의 향기를 음미할 수 있지 않을까.

 

 

p108, 2번째 단락 첫 줄: ‘한 존재 전체를 먹는 것은 건 묵직한 ~ 먹는 것은 묵직한 ~

p124, 21: 호수 호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