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고 싶다는 농담 - 허지웅 에세이
허지웅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기가 만들어내는 소리에 강하게 끌리는 날이 있다. 음 하나하나가 심장을 톡톡 건드리면 가던 걸음을 멈추듯 빠르게 흐르던 일상이 잠시 멈춘다. 공기의 진동이 귀가 아닌 심장으로 스며드는 순간 온몸이 울린다. 내게 음악이 아름다운 건 울림이 있기 때문이다.

군더더기 없는 강인한 단조 풍의 글. 건조함 안에서 베이스 기타의 묵직한 온기가 전해졌다. 뭉클했다. 그의 전작 나의 친애하는 적과는 결이 달라진 느낌이다. 표면은 말랑해지고 내부는 단단해졌다. 이번 책은 음악처럼 다가왔다. 웅장한 오케스트라인 듯 엄청난 서사가 펼쳐지는 것도, 통통 튀는 유머로 바삭거리는 것도, 지적인 내용이 다량 방출된 것도 아닌 글에 심장이 반응했다. 심장이 평소와 다른 진폭으로 두근거렸다.

 

많은 글이 접근을 시도하면서도 표현하기 어려운 주제 중 하나는 삶과 죽음이다. 자체의 무게감에 시작도 하기 전에 짓눌린다. 용기 내어 도전한다 해도 겉핥기로 끝나거나 어정쩡한 결론으로 마무리되기 일쑤다. 삶의 가장 경이로운 극단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자신의 삶이 시작되는 순간을 기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임사체험이나 삶의 마지막을 마주하고 돌아온 경험도 드물다. 삶은 진행 중이므로 삶을 말하는 글에 결론을 내릴 수 없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잠시 멈춤 정도로나 마무리될까.

살고 싶다는 농담은 삶과 죽음 사이에서 주춤거리며 방황하는 사람들을 위한 글이다. 허세 부리지 않고 작가 자신의 경험을 돌아보며 담담하게 삶을 연주하는 글에서 진심이 묻어나온다. 그 문장들이 전해주는 느낌이 나는 좋았다.

 

돌아보면 나의 10대는 가난에 주눅 들어 있었다. 20대에는 거기에 외로움이 더해졌다. 30대에는 의무와 관계의 뒤틀림과 외로움을 짊어지고 혼자 밤길을 걷는 마음을 칼날처럼 품은 채 많은 날을 보냈다. 40대에는 다소 나아졌지만, 저항력이 떨어지면 찾아오는 감기처럼 종종 울적함과 억울함과 허무함이 찾아왔다.

수시로 찾아오던 크고 작은 마음의 고통이 다 지나갔나 했는데 깊은 곳에는 아직도 앙금이 남아있었나. 고통의 본질을 정면으로 응시한 문장을 보는 순간 눈물이 고였다. ‘고통이란 계량화되지 않고 비교할 수 없으며 천 명에게 천 가지의 천장과 바닥이 있기 때문이다.(p45)’ 엄마 앞에서 넘어졌다 일어난 아이가 된 듯 위안받는 느낌에 한참을 기대어있었다.

 

만약에 그때 내가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지금과 달라졌을까. 힘겨운 시간 속에서 허우적댈 때마다 수많은 만약에를 생각했다. ‘만약에의 도돌이표에 갇혀 한참 되새김질을 하던 순간의 파편들이 떠올랐다. ‘정말 바꿀 수 없는 건 이미 벌어진 일들(p194)’인데도.

내 삶을 대표할 수 있는 일곱 가지 장면을 꼽아보라는 문장 앞에서는 잿빛 감정들이 담긴 장면들이 우수수 떠올랐다. 글을 쓰레기 봉지 삼아 그렇게나 많이 버렸는데 채 버리지 못한 순간들이 아직도 남아있었나.

불행은 우리 삶의 동기가 될 수 있는가.(p254)’ 누군가 내게 이런 질문을 한다면 그렇다!’라 답할 것이다. 삶의 어두운 순간들은 내 글의 동기로 작용했으니. 글을 쓰면서 조금씩 그 순간들로부터 거리감을 가질 수 있었다.

 

살아라.(p275)’ 마지막 문장이 한 줄기 햇살처럼 날아들었다. 추천사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온전히 작가의 문장으로만 채워진 책 역시 그의 문체만큼이나 깔끔했다. 허지웅의 문장에서는 여전히 이성적이며 지적인 매력이 묻어나왔다. 영화 속 삶을 접목하여 자신이 할 수 있는 이야기로 삶을 말하는 관점이 좋았다.

상처는 상처고 인생은 인생이다.(p256)’ 그가 쓰는 글의 장점 중 하나는 자기연민에 빠지지 않고 냉철하게 상황을 직시한다는 점이다. 내가 이렇게 아팠다고 구구절절 호소하지 않는다. 이런 점이 강한 신뢰감을 준다. ‘무엇보다 등 떠밀려 아무런 선택권이 없었다는 듯이 살아가는 게 아닌 자기 의지에 따라 살기로 결정하고 당장 지금 이 순간부터 자신의 시간을 살아내라는 것.(p274)’ 내 시간을 좀 더 잘 살아내고 싶어졌다.

 

요즘 학교에서 일주일에 한 번씩 캘리그래피를 배운다. 먹물을 이용해서 붓으로 글씨를 쓰고 조금씩 그림을 그리고 색을 입힌다. 서툰 가운데 재미있어 푹 빠져있다. 이 책의 제목 속 농담을 보니 자연스레 먹물의 묽고 진함이 연상되었다. ‘살고 싶다는말이 전해주는 파장이 화선지에 떨어진 한 방울의 먹물에서 그러데이션되는 농담과 닮은 이미지로 다가왔다.

삶은 수시로 변하는 진동수로 흘러간다. 책에도 삶처럼 진동수가 있다는 상상을 한다. 두 진동수가 만나는 순간 절묘한 공명이 일어나면 읽는 이에게 의미 있는 책으로 자리 잡는 거라고. 코드가 맞는 책을 만난다는 건 그래서 어려운 일이다. 지금 내 삶의 진동수와 일치하는 순간에 살고 싶다는 농담을 만난 걸까. 울림이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