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디로 말하자, 이 책, 유쾌,상쾌,통쾌한 책이다. 이태껏 '교양'이라는 이름아래 망설이고 머뭇거리고 주저해왔던 책읽기와 관련된 진실을 실제 유명 작가들의 사례를 들어가며 논증하는데 글이 우선 재미있고 특히 나처럼 책을 읽고 서평을 작성하는 사람들에게는 꼭 필요한 이야기들이다. 반드시 읽어들 보시라. |
|
책의 제목처럼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이 나오기는 하지만 이야기의 주는 역시 '책'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이다. 이를 지은이는 '읽지 않은 책'에 대한 네가지 방식들-"비독서의 방식들"과 현실에서 부딪히는 여러가지 "담론의 상황들"로 설명해나가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 말하는 방법, 즉 "대처요령"을 제시한다. |
|
먼저 "비독서의 방식들"로 함께 가보자. 지은이가 비독서- 독서가 아닌 방법으로 구분하는 책은 'UB-Unknown Book-전혀 접해보지 않은 책','SB-Skimmed Book-대충 뒤적거려 본 책','HB-Heard Book-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알게 된 책','FB-Forgotten Book-읽었지만 내용을 잊어버린 책' 이렇게 네가지이다. |
|
여기서 우리가 주의 깊게 보아야 할 것은 읽은 책에 대한 구분은 없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우리가 책을 읽고 안다고 하는 것과 읽었지만 내용을 잊어버려 모르는 경우와의 경계가 모호하지 때문이다. 지금 읽고 있는 또는 예전에 읽은 책들에 대하여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눌때 우리는 과연 그 책에 대하여 자신있게 알고 있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고 지은이는 이야기한다. 결국'FB'의 경우도 읽지 않은 범주에 들어가고 완전히 책을 읽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이야기이다. |
|
독서는 우선 비(非)독서라 할 수 있다.삶을 온통 독서에 바치는 대단한 독서가라 할지라도,어떤 책을 잡고 펼치는 그 몸짓은 언제나 그것과 동시에 행해지는,그래서 사람들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그 역(逆)의 몸짓을 가린다.(26쪽) |
|
지은이는 자신의 논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여러 권의 책들과 그 속의 이야기를 자료로 제공하며 보여주는데 'UB'와 관련하여서는 로베르트 무질의 "특성없는 남자"에 등장하는 책을 전혀 읽지 않는 사서를,'SB'와 관련하여서는 폴 발레리의 "작품"에서 저자를,'HB'에서는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의 주인공 수사를,'FB'에서는 몽테뉴의 "수상록"에서 몽테뉴 자신을 불러온다, |
|
현란한 등장인물과 인용문들 속에서 지은이가 이야기하는 바는 한가지다. 독서는 정체되어 있는 책 자체가 아니라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가운데 새롭게 창조되어가는 또 다른 무엇이라는 것이다. |
|
독서는 정신세계를 풍요롭게 해줌과 동시에 탈(脫)개성화 작용을 발생시킨다. 텍스트의 어떤 내용도 고정시킬 수가 없으므로,독서는 자기 자신과 합칠 수 없는 어떤 주체를 부단히 야기하기 때문이다.(87쪽) |
|
우리는 동질의 책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 독서에서 뽑아낸 조각들,서로 뒤얽혀 있기 일쑤인데다 우리의 개인적 환상에 의해 다시 손질된 그 조각들을 기억한다.(88쪽) |
|
독서에 대한 상황이 이러하므로 우리는 '교양'이라는 굴레에 갇혀 '독서의 의무','정독해야할 의무','읽은 책만 이야기해야 한다는 두려움'에서 벗어나 죄책감을 덜 필요가 있"다고 "프롤로그"에서 지은이가 말하는 것이리라. |
|
사실 매번 책을 읽고 서평을 작성하면서도 늘 찝찝한 부분이 이런 것이었다. 내가 이 책을 제대로,정확히,확실하게 이해를 한 것인지, 지은이와 그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반영한 글을 쓰고 있는 것인지가 주요 관심사였는데 결국 그것은 그 책과 동화되며 나의 개성과 나의 목소리를 잃어가는 과정이며 심지어는 '책을 읽지 않고도' 제대로 된 비평을 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이다.그리고 나는 이 지적이 너무 맘에 든다. |
|
목숨을 바쳐서라도 언젠가는 그 책을 손에 넣으리라는 희망은 부질없는 꿈일 뿐이다.(76쪽) |
|
"담론의 상황들"에서 우리는 책을 읽지 않고도 그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여야만 하는 상황 - '사교 생활에서','선생 앞에서','작가 앞에서','사랑하는 사람과 함께'인 경우-에 처하여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만나게 된다. 여기에서도 그레이엄 그린의 "제 3의 사나이" 속의 주인공 롤로 마틴스, 로라 보헤넌의 "티브 족의 햄릿" 중의 티브 족, 피에르 시냑의 "페르디노 셀린느"의 두 주인공,해롤드 래미스 감독의 영화 "사랑의 블랙홀"의 주인공 필 코너스-빌 머레이 분-를 등장시켜 자신의 논지를 펼치는데 이 속이야기들이 더욱 재미있고 설득력이 있다.-바쁘신 분들은 속 이야기라도 만나보시기를!- |
|
그리고 마직막 장인 "대처 요령"에서 그는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것을 "부끄러워 하지말"고,"자신의 생각을 말하"고,"책을 꾸며낼 것"을 요구한다, 그것도 "자기 애기를 하"며…… 이게 무슨이야기인고 하니 여기가 결정적으로 이 책의 결론이자 포인트가 되는 부분이다. |
|
그러므로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부끄러움 없이 말할 수 있으려면 가정과 학교에 의해 강압적으로 전파되는 흠결 없는 문화라는 강박적인 이미지,일생동안 노력해도 일치시킬 수 없는 그 이미지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한 진실보다는 자기 진실이 훨씬 더 중요하다.~ 즉 교양있는 사람으로 보여야 한다는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는 자만이 자기 진실에 이를 수 있다.(174쪽) |
|
우리가 책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고 글을 쓴다는 것이 책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나 자신, 책을 만나고 있는, 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우리들 자신이 더 중요하고 창의적이라는 지적은 반갑고도 고마운 가르침이다. |
|
비평의 진정한 유일한 대상은 작품이 아니라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225쪽) |
결국 비평은 작품과 아무런 관계가 없을 때 자신의 이상적 형식에 도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226쪽) |
잘 읽는 것이란 작품으로부터 등을 돌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에서는 두사람(폴 발레리+오스카 와일드)의 견해가 일치한다.(227쪽) |
|
그래, '책이란 읽을 때마다 다시 꾸며지는 것'(256쪽)이기에 오늘도 나는,기억의 몇 조각을 부여잡고 나의 이야기를 이렇게 펼쳐 놓는다. |
|
|
2008. 3. 6. 봄이 밀려오는 저녁무렵에.. |
|
들풀처럼 |
*내용:★★★★★ / 편집:★★★
|
* 이 책에 등장하는 중요한 개념어 세가지는 직접 만나 보시기를.. |
화면 책-집단 도서관 / 내면 책-내면 도서관 / 유령 책-잠재적 도서관 |
|
*오/탈자? : 몇 가지 눈에 띄어 정리하여 둡니다. |
31쪽 밑에서 7 째줄 : 하도라도 → 하더라도 |
59쪽 "장미의 이름" 중 : '바스커빌'의 기욤이라는/ '바스커빌'은 |
(지역 또는 인명의 오독? '바스커빌'이 인명으로 지역명으로 쓰이고 있다?) |
60쪽 밑에서 9 째줄 : 결론을 이른다 → 결론에 이른다 |
112쪽 끝줄 : 분명하는 것이다. → 분명한 것이다./ 분명하다. |
180쪽 위에서 8 째줄 : 풀판업자 → 출판업자 |
200쪽 밑에서 7 째줄 : 하고 이리 예상해볼 수 밖에~ = 어딘지 어색함 |
좋은 책에 비해 오자가 너무 많아 아쉬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