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하려면, 녹색 - 좋은 삶, 다른 사회, 녹색 정치를 꿈꾸다
하승수.서형원 지음 / 이매진 / 2014년 2월
평점 :
절판
행복과 녹색은 무슨 관련이 있을까? 행복은 나에게 오래된 물음표이자, 작가나 철학자들의 행복에 대한 정의를 나도 모르게 모아두고 있었다. 아마 현재의 상황이 그와는 먼 상태라 그랬는지... 지은이 하승수 님도 그와 비슷한 고민을 했다. 전문직인 대학교수와 변호사를 때려치우고 녹색정치에 뛰어들었으니.
행복은 이제 개인의 문제만은 아니며 사회구조와 환경에 심하게 얶매이는 꼴이 되었다. 한 명의 소중한 의견과 선거권은 모이면 큰 힘이 되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작은 것이 큰 것이고, 사소한 것이 중요한 것이고, 악마건 천사건 디테일에 있다고 하지 않나.
녹색이든 보라든 노랑이든 자신의 색을 확실히 알고, 하고, 표현해야 한다. 표현함에 있어 한 사람의 목소리보다는 같이 함께라면 더 큰 목소리를 내고 힘을 낼 수 있을 것이다. 얼마전에 읽은 <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 북>에서 행복의 조건은 관계, 소명, 유희, 통제라고 했다. 이 모든 조건들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자신을 잘 알아야 가능할 것이다.
녹색당 어쩌고 제목이 붙었으면 안 보았었을 지도 모를 책을, 행복이란 감정의 상태에서 시작한 점이 좋았다.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 일이 내 일이 아닌 3자의 일이라고 느껴졌지만, 행복이라는 감정은 모두가 고민하고 원하고 바라는 것이기에 내 일처럼ㅡ느껴지게 하는 것이다. (의도한 전략이었을까? ㅎ) 또한 정치는 우리의 삶이니까...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게 만들려면 이런 마케팅 참 좋은 듯 하다.
<체르노빌의 목소리>에서 시작된 녹색 관심도를 관련 책들을 읽으면서 계속 이어 키워갈 읽어갈 계획이다. 진행 중인 책들은 <원전을 못 만들게 하는 사람들><녹색당과 녹색정치>. 문학(예술)은 정치적이다.
밑줄을 많이 그었으므로 저장해 두겠다.
이런 얘기들을 생각하면 사회 공동체가 정말 중요하다. 세상이 잘못 돌아가면 내 삶에도 그 영향이 고스란히 미친다. 그래서 정치가 중요하다. 정치는 사회가 잘못 돌아갈 때 잘못된 사회를 바꿀 수 있는 중요한 통로다. 정치가 잘돼야 나도 행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정치에 무관심하거나 적대적이다. `먹고살기도 힘든데 무슨 정치냐`라는 생각을 한다. 그러나 그런 생각이 바로 변화를 가로막는 원인이다. 먹고살기 힘들어서 정치에 무관심 할수록 정치는 나를 더욱더 먹고살기 힘들게 만들 것이다. (41p)
6개 원전이 가동 중인 영광 원전에서 서울까지 직선거리는 겨우 200킬러미터다. 광주 같은 대도시가 영광 원전에서 직선거리로 40킬로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광주 같은 대도시가 영광 원전에서 직선거리로 40킬로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부산과 울산 경계에 있는 고리-신고리 원전에서 30킬로미터 안에 350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다. 그런데도 경각심이 없는 것이다.(74p)
지금의 교육은 완전히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대학진학이 아니라 좋아하는 일을 배우고 하며, 농사도 조금씩 짓고, 잘 먹고, 가족이나 친구들하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사는 일에 교육의 초점이 맞춰져한다. (106P)
이렇게 긴 노동 시간을 일하면 행복하기가 힘들다. 여가란 생각할 수도 없고, 가족이나 친구들하고 관계도 소원해지기 쉽다. 지역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도 어렵다. 장시간 노동 사회에서는 민주주의도 힘들다. 사람들이 사회나 정치에 관심을 가질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장시간 노동 사회는 사람을 착취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구의 생태환경에 주는 부담도 크다. 더 많은 자원을 소모한다. 심야 노동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117p)
가장 낮은 행복도, 가장 높은 자살률, 심각한 빈부 격차, 무분별한 환경 파괴 같은 병을 앓고 있는 한국에서 녹색당은 반드시 필요하다. 원전, 기후변화, 송전탑, 고용 없는 성장, 저임금장시간, 비정규노동, 농업 붕괴와 농촌의 침체 등은 그들의 핵심 관심이 아니다. 그들은 여전히 경제성장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당장 자기가 당선하고 자기 세력이 권력을 쥐는 것에만 몰두하고 있다.(229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