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대하신 스승님 리베카 솔닛과의 대화

가끔 나는 포르노란 남성의 특권을 더욱더 강화하고 여성이 획득한 힘에 대한 복수 행위를 쉼 없이 상연함으로써 남자들에게 보상을 안기는 평행우주가 아닐까 생각한다...이성애로 묘사되는 행위 가운데 많은 부분은 사실 남성적 승리에 대한 동성애적 매혹이다. 그것은 여성이 끊임없이 패배하는 모습에서 흥분을 느끼는 스포츠에 가깝다. 112p

->포르노란 성적욕망의 충족이라기보다는 권력과 지배에 가까운 것. 경쟁, 싸움에서 벌어지는 승리와 패배의 극단적 양극화의 드러남


나는 <걷기의 인문학>에서 젊은 여자였을 때 겪었던 경험을 이렇게 말했다. 내 인생에서 가장 처참한 발견은 집 밖에서는 사실상 내게 삶, 자유, 행복 추구의 권리가 없다는 것, 세상에는 그저 내 젠더 때문에 나를 미워하고 해치고 싶어하는 낯선 이가 많다는 것.섹스가 너무 쉽게 폭력이 된다는 것, 이것을 사적인 문제가 아니라 공적인 문제로 여기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이었다. (...) 여자가 남자에게 공격당한 경우라면 거의 모든 상황에서 사람들은 이렇게 여자를 비난하는데, 그것은 남자를 비난하지 않으려는 방편이다. 123p

->침묵하며 집안에 머물러 자존감이 낮아질 수밖에 없음. 여성으로 열일 해봤자 결국 돌아오는 것은 비난.. 여성의 삶은 사적이고 왜 자궁은 공적인 문제가 되는가?


몇년 전 작가 에밀리 굴드는 솔 벨로, 필립 로스, 존 업다이크, 노먼 메일러를 20세기 중반 여성혐오자들이라고 명명했는데...어니스트 헤밍웨이도 내 독서 금지 영역에 포함된다. 234p

->롤리타. 만일 반대의 소설이 명작고전이었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