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 애덤 스미스 씨, 저녁은 누가 차려줬어요? - 유쾌한 페미니스트의 경제학 뒤집어 보기
카트리네 마르살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다 말고 별점★5개 주는 흔하지 않은 책이다.

「여성주의 경제학」이라는 경제학 박사 홍태희님이 쓴 책을 읽은 적이 있다. 여기서는 여성주의 관점의 경제학에 더불어 예술을 경제학이 얼마나 훼손, 변형, 어그러 뜨리는 지가 중간에 뜬금없이 등장한다. 이는 곧 페미니즘과 예술의 깊은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노동- 무보수 노동 -그림자 노동 - 열정 페이- 비물질 노동 등 의 키워드가 주류 경제학에서 제외되는 노동을 말한다. 이는 비단 여성의 가사노동과 돌봄노동뿐만이 아닌 예술에도 적용되는 공집합이 존재함을 뜻하는 것이다.

예술이 만드는 가치는 무엇인가?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것, 따뜻함, 유머, 감정 자아내기, 감동 주는, 연대감, 협동, 창의성, 돈과 거리가 멂.....이라고 한다면,

여성의 (화폐화 되지 않는) 노동들은 어떤 특성이 있을까? 감정, 육체, 의존성, 연대감, 자기희생, 부드러움, 자연, 예측불가능, 수동성, 인간관계 등(65p)

뭔가 쫌 많이 비슷하다. 문화경제학(예술경영)을 (최고학위까지) 공부한 나는 예술이 경제학이란 잣대로 수치화되는 것에 찬성했던 걸까, 반대했던 것일까. 과연 예술을 죽이는 사람일까, 살리는 사람일까?


데이비드 갤런슨은 예술작품의 의미를 계산하는 통계학적 방법을 개발했다고. (75p) 20세기 가장 중요한 예술품은 <아비뇽의 처녀들> 이라는 결론을 얻었는데 이유가 책의 삽화로 가장 많이 출현했기 때문이라나.... 한심....


 

문화예술경제학의 공저자 찰스 그레이의 발언은 차원이 완전히 다른 문제다. ˝우리는 모두 예술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고 믿고 싶어 한다. 그러나 나는 예술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같지 않다는 말에 동의하지 않는다.˝(76p)


(이정도면 한심을 넘어 거의 유신독재-전체주의 수준이다....)



책을 읽으면서 어쩌면 그 본질인 주류 경제학을 뜯어 비판하다. 또 심각하게 고민하게 된 정체성. 내가 추구하고 걸어온 인생의 목적으로 삼으려했던 기준들....페미니즘은 기존의 체제를 뒤엎는 것임을 실감하다.

(1차 리뷰 끝: to be contine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