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을 기다리는 시간 - 자캐오에게 말을 건네다
토마시 할리크 지음, 최문희 옮김 / 분도출판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 밑줄긋고 싶은 곳이 많아서 헤맨 책. 저자 토마스 할리크 신부는 불신앙과 무신론을 품어낼 수 있는 성숙한 신앙, 그리고 가난한 이들과 슬퍼하는 이들, 외롭고 목마른 사람들을 축복하는 개방된 열린 교회를 말한다.

🌹어떻게 하면 나를 부르시는 그분의 목소리를 좀더 잘 들을 수 있을까. 이미 나의 부활 체험은 지나갔는데 둔해서 자각하지 못한 게 아닐까? 확실한 건 신앙을 가꾸고 훈련하는 거다. 뭐든 저절로 얻어지는 법은 없는 것이다. 빛을 향하고, 내면의 목소리를 듣고, 양심을 살핀다. 그러다보면 언젠간 계속되는 부활(ressurectio continua)이 가능하지 않을까.


˝우리가 하느님을 보는 눈과 하느님이 우리를 보시는 눈은 똑같은 눈이다.˝(마에스터 엑카르트)

그 분은 우리의 개방성 안에 계신다. 그분은 우리의 `상대`가 아니라 우리의 기초이시다. 우리 현존의 원천이시며 우리 현존이 성취하는 것의 원천이시다. 82p

온갖 유형의 종교 장사꾼이 매혹적으로 자기 제품을 떠벌리는 오늘날, 하느님은 그렇게 `손쉽게 손에 넣을 수 없다.` 는 사실을 진지하게 빋이들이는 일이 유익하고 필요하다.42p

하느님의 관점에서 부활은 성부께서 성자를 죽음의 올가미에서 해방시키신 완전하고 완결된 행위이다. 그러나 교회와 세상 역사의 불완전한 관점에서 보면 그 사건은 여전히 `끝나지 않은 혁명`이다... 우리도 부활 안에서 그분과 결합되어야 한다.18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