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도착한 책들 중에 김애란의 <두근두근 내 인생> 영역본이 있었다.


첫 페이지를 보자

읽다보니 Princess Fuck 이란 말이 나오는데, 뭔데? 뭐 번역한건데? 머리 굴려보다가 알라딘 미리보기로 확인해보니..
시작이 전혀 다르다. 미리보기 계속 읽다보니, 앞에 3페이지 가량이 짤리고, 첫 페이지가 나온 것.
우리나라 작가들 책 영역본 읽기 좋아한다. 영어책 같이 읽을 때 자주 읽혀보는데, 아는데 몰라, 모르는데 알아. 이런 오묘한 기분이 드는 것이 재미있다. 계속 읽다보면 재미있는거 또 찾을 수 있겠지. 영역본만 읽은 책들도 있고, 번역본 읽고 영역본 읽은 책들도 있는데, 앞에 세페이지 잘려나간 건 처음 봤다.
한 때는 번역 다르면 불 뿜었을 때도 있었던 것 같은데.. 아련.. 옛날에 막 좋은 거 좋다고, 싫은 거 싫다고 동네방네 외치고 다니던 어릴적.. 지금은 우리말 번역본도 내용 많이 자르면서 읽기 좋게 번역, 편집해서 나오는 것 알고 있고, 거꾸로도 당연히 가능하겠지. 편집의 영역이라는 생각. 왜 그렇게 했는지 생각해보면 이해갈 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하고.
영어말고 언어 하나만 더 해서 세가지 언어로 같은 이야기 읽으면 진짜 재미있을 것 같은데, 사는 동안 언젠가..!
해외 책계에서 인기 있는 한국문학은 한 강, 1982 김지영이 대부분이고, 한 강은 대부분의 작품들이 인기 있고, 조남주의 책은 두 권 정도 봤는데, 1982 김지영 언급이 99%. 1982 김지영은 내가 팔로잉하는 인스타 근육질 대머리 아저씨, 역사책이랑 판타지 가끔, 베르세르크 좋아하는 아저씨가 소개한거 보고 놀란 적 있다. 그 외에 정보라 작가 저주 토끼가 자주 보인다. 휴남동 서점, 메리골드 사진관, 파과, 고래, 두근두근 내 인생, 아, 신경숙 작가 책도 종종 보이는데, 해외 책계에서는 거의 못 보고, 알라딘 중고로 많이 뜬다. 권여선 레몬도 있고, 아, 아몬드도 해외에서 많이 봄. 요즘은 트렁크도 종종 보이고.
1982 김지영 빼고는 다 중고로 뜨면 한 권씩 사보고 있다. 아직 안 읽어봤지만, 구병모 <파과> 영역본 기대됨.
간혹 우리말 번역본 보면서 이건 뭘 번역한걸까 생각할 때 있는데, 거꾸로 이건 뭘 번역한거지? 영역본 보고 생각할 때도 있다. Princess Fuck 뭐게요? 맞춰보라고 하면 괜히 욕고민할까 싶어


시발공주래요. 영어에서는 한 번도 못 본 표현.
많은 사람들과 영어책을 읽고 있는데, 한.. 4-50명의 사람들과 최소 주 1회 이상 보면서.
책 좋아하는 사람들이 영어책 읽으면 진짜 재미있는게 많다. 그리고, 정말 영어책 읽는법만 알게 되면, 정말 잘 읽을 수 있다. 우리말도 영어도 못하는 대여섯살 꼬맹이들도 2-3년 지나면 책 읽고, 거기서 또 1-2년 지나면 챕터북 두꺼운 책 붙들고 읽어내는데, 이건 성인들이 훨씬 잘 할 수 있고, 영어 공부 하려고 영어책 읽는 사람들보다 책 좋아하는 사람들이 훨씬 잘, 신나게 할 수 있다. 내 생각에는 1년 정도면 될 것 같은데, 2년 이면 더 잘 읽고. 얼마전에 유튭에서 대치 영어학원 원장 어쩌고 하는 분이 아이들 영어 잘하게 되기까지 7년 이야기하던데, 아이들의 경우가 그렇고, 어른, 책 좋아하는 어른은 2-3년이면 잘하게 되지 않을까. 최소한 영어책은 잘 읽게 될 수 있을 것 같다. 알라딘에서는 그동안 내가 독서모임 글 올리면서 보니 영업이 영 안되는데, 진짜 제일 잘 읽을 것 같은 사람들 모여 있는 곳이라서. 내가 밖에서 표본 더 생기고, 자신감 더 생기면 또 와서 계속 얘기해야지. 성인 영어책 읽기+ 책 읽기까지 같이 하려니 밖에서는 두 배로 힘들고, 책 읽기가 영어책 읽기보다 당연히 더 힘들다. 하지만, 뭐, 책읽기도 영어책 읽기도 계속 하고 있는 것들이니 두 개 합체 완전 가능하지. 나야.
오늘은 오늘까지 읽어야 하는 책들과 읽는 중인 책들 좀 끝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