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솔드 : 흩어진 조각들 ㅣ 언와인드 디스톨로지 3
닐 셔스터먼 지음, 강동혁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7월
평점 :
선하면서 흥미로운 인물들을 보고 싶다.
닐 셔스터먼의 책에서 그런 주인공들을 만날 수 있다. 코너, 레브, 리사.
한 권이 끝날때마다 흥미로운 인물들이 추가된다. 악당은 악당이고, 선한 인물들은, 복잡하다.
1권부터 꾸준히 등장하는 코너, 레브, 리사가 그런 인물들이다.
반면, 로렌스, 스키너, 스타키, 넬리 등은 악당이고,
어느 쪽에 발을 들일지 자신의 눈 앞의 이익을 위해 휩쓸려 가는 사람들과 주도적으로 선하고나 악한 많은 주변 인물들이 등장한다.
이 시리즈를 긴 휴가때 처음부터 끝까지 읽으면 너무나 만족스러울 것 같다.
이제 시리즈의 마지막 권을 남겨둔 3권이 되도록 (원서는 다섯 권인데, 마지막 권이 시리즈로 안 나온 이유를 네 권 다 읽으면 알 수 있을까?) 계속 새로운 상황들과 인물들이 지루할틈 없이 나온다.
2권이 1권보다 더 재미있어서 3권이 더 재미있을 수는 없을 것 같다.라고 썼는데, 2권 읽고, 3권 읽을즈음에는 이미 이 시리즈에 몰입해서 더 재미있고, 덜 재미있고 그런것 없이 이 시리즈에 완전히 빠져들게 된다. 이미 빠져들었더라도 더.
언솔드 (Unsoueld 였다. 한글 제목만 보고 unsold 인줄) 에서는 언와인드 기술을 발명한 과학자 부부가 나오고, 1권에서부터 익숙한 이름 하나가 튀어나온다.
어떻게 언와인드 기술을 만들게 되었는지 그 기술이 어떤 방식으로 비인류적인 방향으로 급속도로 흘러갔는지에대한 배경을 어렴풋이나마 짐작할 수 있다.
"뉴스에서는 이제 그들을 <무법자>라 부른다. 10대 무법자라고, <이 전쟁이 낳은 10대 무법자들에게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정치인들은 입법부라는 울타리 안에서 푸념한다. 아니, 교육 예산을 전쟁용으로 돌려놓고서도 이럴 줄 몰랐다는 건가? 어떻게 공교육이 실패하리라는 걸 모를 수 있단 말인가? 학교도, 직업도 없이 손에 쥔 것이라고는 시간뿐인 저 아이들이 말썽을 부리는 것 외에 무슨 일을 한다고?"
" 전쟁은 힘의 균형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지됐던 거야. 당국이 애들을 언와인드하기 시작한들, 애들한테 뭐가 있겠어?"
디스토피아물인데, 이 이야기를 현실 뉴스에서 분명 봤던 것 같은 섬뜩함과 이 소설에서 보여주는 픽션의 '언와인드'라는 끔찍한 기술이 섞여서 당장 뭔가 하지 않으면 도래할, 혹은 이미 다른 방식으로 도래한 현실을 보는 것 같은 기분이 읽는 내내 든다.
6부까지 있는 이야기의 매 부 처음에 나오는 뉴스는 소설에서 이야기하는 것보다 더 끔찍하고 잔인한데, 현실의 뉴스이다.
너무 과한 소재이지 않은가? 이런 이야기 해도 되나? 라고 처음 이 소설을 접할 때 생각했던 것이 우스워질정도로 현실은 이미 충분히 잔인하고, 셔스터먼은 그걸 순화한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이다.
누구라도 이 세계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주 작은 먼지 같은 존재로 여겨질 때에도 자신의 역할을 해냈을 때 커다란 세계가 올바른 방향으로 굴러갈 수 있다.
이 책에서 처음 나온 그레이스와 아터전 남매. 그 중 그레이스가 멋졌다고.
"코너는 자신이 탈출을 주도하리라 생각했지만, 그레이스가 앞장서도록 둔다. 그는 지금까지 그레이스가 해낸 일에 경이로움을 느낀다. 제독이 언젠가 말한 적이 있다. <진정한 지도자는 절대 자산보다 자의식을 앞세우지 않는다>라고. 그레이스 스키너는 가장 높은 순위의 자산이다.
"어떤 게임을 하려고, 그레이스?" 코너가 경찰의 바지를 입으며 묻는다.
"우리가 이기는 게임." 그레이스는 단순하게 말한다. "
그들의 앞날에 이기는 게임이 더 많길. 많이 졌지만, 더 많이 이기고, 마지막에는 확실하게 이기는 게임이길.

출판사 이벤트 신청 제공 도서.
이제 마지막 권 남았다. 원서 5권은 어떻게 되는거지. 아, 궁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