낳으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우리 문화 그림책 10
곽영권 그림, 이상희 글 / 사계절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머니마음]노래를 듣고 있다. 많이 마음이 아프게 쓰려왔다. 아마 대부분 이 노래를 듣는 사람들은 같은 마음일 듯하다.  곽영권 일러스트는 한지에 그린 듯 한 느낌으로 책 표지에는 여섯 번째 은혜의 그림으로 나오는 한복을 입은 엄마가 아이에게 젖을 먹이고 있다. 한국의 느낌이 강했다. 이상희 시인은 자신이 부모가 되어 돌아가신 부모님과 살아 계신 시부모님의 은혜를 생각하며 이 책의 글을 썼다고 한다. 오래된 불교의 경전 [부모은중경]을 이해가 쉽도록 풀이하여 쓴 것이다.

내지도 모두 한지 같은 느낌의 부드러운 색이였고 첫 번째 은혜 ‘인연을 맺어 품어 주신 은혜’를 적어두고 옆 페이지에는 그 내용에 맞도록 그림이 그려져 있다. 그렇게 두 번째 은혜인 ‘낳을 두려움을 받아들이신 은혜’ , 세 번째 은혜 ‘넣으실 제 괴로움을 잊으신 은혜’, 네 번째 은혜 ‘좋은 것만 가려 먹여 주신 은혜’, 다섯 번째 은혜 ‘진자리 마른자리 가려 뉘신 은혜’, 여섯 번째 은혜 ‘온몸으로 젖 먹여 길러 주신 은혜’, 일곱 번째 은혜 ‘더러움을 깨끗이 씻어 주신 은혜’, 여덟 번째 은혜 ‘먼 길 떠난 자식 걱정하시는 은혜’, 아홉 번째 은혜 ‘자식 위해 온갖 고생 하시는 은혜’, 열 번째 은혜 ‘사랑하고 또 사랑하시는 은혜’를 풀이해 두고 있다.

다음에 이어진 글은 자식이 자라서 은공을 모르는 글과 어버이 살아생전 은혜를 갚으려 하는 글이 이어졌다.  글은 다 못하는 일만큼 느리게 보였다. 효도를 하여 후에 세상을 떠나 다시 하늘에서 어버이를 뵈옵고 영원토록 함께 하려는 글이 있다. 내가 생전에 효도를 못하였다. 분명 그래서 내 마음이 쓰리고 아픈 듯하다. 내 아이들에게는 이글을 읽어보게 하겠지만 그렇다고 어버이의 은혜를 생각할까? 모든 부모들은 이렇게 자기 자식에게 바라는 게 없다. 언제나 무조건적인 사랑으로 제 몸을 다 쓰려한다.

초등 3학년 1학기 도덕과 생활의 길잡이 교과서에는 부모님께 효도하는 방법과 형제간에 우애 있게 지내는 일을 이야기하며 알아보도록 적혀져 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배경 음악으로 [어머니마음]을 들었고 느낌을 적는 내내 다시 듣고 있다. 내 친정아버지는 일찍 저 세상으로 가셨다. 홀로지내신지 벌써 14년이 된 친정어머니가 오늘은 너무도 그립다. 효도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공부하기 전에 이 책을 읽어보도록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