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편견 - 세상을 바르게 보는 6가지 따뜻한 시선
고정욱 외 지음, 유기훈 그림 / 뜨인돌어린이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편견(偏見) 국어사전을 찾아보았다.
나도 누구에게 편견을 가졌던 적이 있었던가 생각해보면 아마도 있었던 것을 기억했다. 부끄러웠고 아이들에게 편견의 설명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하는 걱정과 의문이 생겼다.
[엄마와 오까상] 일본여자가 한국남자와 결혼을 하고 아이들을 낳아서 한국에서 산다. 아이들은 동훈이는 엄마가 일본여자라 독립기념관 견학을 가기 싫었지만 결국 가게 되었다. 친구들은 정훈이 앞에서 일본을 욕하고 있다. 일본여자이면서 동네 이장인 엄마가 병이 나셨다. 수술을 앞두고 엄마는 외할머니가 보고 싶었고 외할머니가 곧 오셨다. 외할머니는 음식을 직접 만들어주셨고 엄마가 퇴원할 때 동네에 현수막이 붙었다. “고쿄이장님의 퇴원을 축하합니다. 건강을 기원합니다.”
흐뭇한 광경을 책속에서 보았다. 내가 아는 웹 친구 중에 한사람은 일본여자와 결혼을 했다. 나이도 두 살이나 많은 일본여자이지만 아이들은 티끌 없이 성장하고 학교에서 반장도 맡아서 했다는 이야길 들었다. 누구나 바라보는 눈이 조금씩 다를 뿐이다. 아주 오래전에는 일본과 우리나라의 땅덩이도 서로 붙어있었다고 하니까..
[새터민 석철이] 어떻게 아이혼자서 탈북을 할 수 있었을까? 상황을 떠올려보면 정말 힘들었을 듯 하지만 실제로 그런 일이 있는 것 아닌가! 아이들에게 석철이는 호기심의 대상 이였고 인기 많던 아이는 설철이가 밉고 싫어서 놀리게 된다. 선생님께서 석철이 이야길 하는 내내 눈물이 마르지 않았다. 그래서 더 속상했다. 학교에서는 북한말과 남한말을 배우고 서로 다른 문화를 공부한다. 통일이 되면 어떨까하는 것도 배우고 있다. 북한아이와 친구가 되면 무엇을 할 것인지도 과제가 있었다. 그런 공부에서 아이들은 편견을 버리게 되지 않을까?
[엄마는 예언자]뇌성마비 장애가 있는 은별이 엄마를 사람들은 ‘흔들이’라고 부르며 놀린다. 아주 어린 아이들부터 같은 반 친구인 상구까지도 놀리지만 “우리 엄마는 단지 장애가 있을 뿐이야, 다른 사람과 다르지 않아.” 하고 맞서 싸우지만 1학년 학교 입학 때 찾아왔던 고모가 자신의 진짜엄마는 아닐까 생각도 하게 된다. 말하는 것도 서툴러도 은별이 엄마는 많은 것을 알고 있었다.
“세......상에 자압......초는 없단다. 사아람......들이 이름을 잘 알지 못한다고 잡......초라고 하는 건 옳......지 않아, 세상에 쓸......모 어없......는 생명은 없......단다.” 은별엄마의 말은 기억해두고 싶은 말 이였다. 가끔 사람들은 사람을 잡초로 보는 것 같다. 슬픈 일이다. 작가의 말처럼 장애는 단지 사는 데 불편한 요인일 뿐이다.
[난 아름답고 뚱뚱해!] 아직은 초등학생인데 공부 일등 하는 것보다 예쁜 아이로 1등이 되는 것이 더 좋아 보인다. 전국10대 얼짱대회에서 송이는 10명 뽑히는데서 뽑혀서 뉴스가 되었다. 살을 빼려고 밥을 굶고 먹은 밥도 토해낸다. 결국 쓰러져 병원에 입원하지만 송이가 찾아온다. 송이는 엄마가 그렇게 했다고 하면서 자신은 보통 친구들과 같이 잘 지내고 싶어 했다. 송이가 더 어른 같았다. 송이엄마처럼 대부분 엄마들이 자신의 딸들을 예쁘게 보이고 싶지 않을까..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만수아저씨의 꿈] 형인 장수는 공부를 해서 현대적인 기계로 징을 만든다. 동생인 만수는 형만큼 공부를 하지 못하고 아버지인 전 장인과 함께 놋쇠 판을 달궈 징을 만든다. 전통 공예 대전에 형 장수와 동생 만수가 나간다. 결국 전통 공예 대전에서 대상은 동생 만수가 되었다. 학력이 높다고 다 일등은 아닌 것이다. 만수아저씨는 배운 게 적지만 우리가 만수아저씨에게서 배울게 많을 듯하다.
[50년만의 졸업식] 윤지의 할머니는 어려서 어려운 집 환경으로 공부를 하지 못했다. 그래서 다시 시작한 공부는 구청 복지관 초등학교 과정이었고 졸업을 하게 되었다. 윤지와 윤지오빠는 할머니의 어릴 적 이야기를 들으면서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아마 할머니가 자랑스러웠을 것이다.
내 주위에는 뒤뚱거리며 걷는 엄마와 양쪽 새끼발가락에 뼈가 없어서 엄마처럼 뒤뚱거리며 걷는 아들이 있다. 키도 또래친구들보다 아주 작은 그 아이는 항상 보면 맑고 명랑했다. 뇌성마비가 있는 나의 친척아줌마는 나보다 1살이 어린나이다. 두 명의 오빠는 다 클 때까지 도와주었고 결혼해서 아이 낳고 참 잘 살고 있다. 그 친척아줌마도 발가락에 젓가락을 끼워서 타자를 치던 때가 있었다. [오체불만족]의 작가 오토다케 히로타다가 떠오른다. 장애인을 장애인으로 보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장애인을 우리 일반 사람들과 함께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제목처럼 [편견]인 것이다. 우리가 지금 누구에게 도움을 줄때 결국 우리가 도움이 필요할 때 받는 날도 있을 것이다. 은별이가 하는 말처럼 조금 불편한 사람들 인 것이다. 더 많은 것을 알았다.